책소개
20대를 중심으로 하는 젊은이들은 생식의 위기와 더불어 신빈곤 시대를 만난다. 저자가 전작 『88만원 세대』에서 다룬 바 있듯이, 젊은이들은 실업자 신세를 면했다 해도 아무리 일해도 빈곤을 벗어날 수 없는 워킹 푸어가 될 확률이 높다. 이처럼 토건과 빈곤, 생식의 변증법적 관계는 생태경제학은 곧 정치경제학이라는 저자의 논법을 독자들이 수긍하도록 만든다.
목차
서문
프롤로그│토건 경제, 생태계 그리고 재생산
‘한국 자본주의’의 재생산력
5만원권과 난설헌 허초희
다산 정약용과 실학, 그리고 생태학
백사 이항복과 ‘개도맹정신’
차별의 재생산과 생식의 차별
생태계, 재생산되지 않는 것: 복원성의 문제
경제를 죽여야 경제가 산다
1장 생식의 위기, 가족의 위기
1. 생태학, 섹스의 학문
2. 맬서스와 제임스 밀 그리고 존 스튜어트 밀
3. 결혼과 동거
4. 모노가미와 폴리가미: 한국 신자유주의와 위기의 모노가미
5. 가족의 확장, 게이 가족 그리고 연대 가족
6. 생식의 위기인가, 섹스의 위기인가?
2장 토무현, 토명박, 토근혜, 그리고 토건의 완성
1. 회복력과 천이
2. 시장이 문제인가, 토건이 문제인가?: 탈토건 1세대의 등장
3. 토무현의 토건주의, 토명박의 공사주의
4. 공사주의, 파국으로의 질주
3장 2012년 대선과 탈토건의 정치경제학
1. 4퍼센트의 승리와 11퍼센트의 승리, 미국과 일본의 변화 사이
2. 박근혜가 탈토건의 희망이 될 수 있을까?
3. 국토 생태의 정치경제학
4. 탈토건의 끼어들기와 새 판짜기: 마이너들의 정치 전략
5. 골프 동맹군
6. 2012년, 탈토건 대연정
4장 디버블링과 국민경제의 생태적 대전환
1. 두 경제학자 이야기
2. 생태적 전환의 기본 모델
3. 일주일에 이틀 일하는 정규직, 재택근무 그리고 완전 연봉제
4. 사교육 폐지, 주 4일제 수업
5. 등록금100만원 시대
6.‘ 집’ 대신 ‘방’을 꿈꾸는 세대를 위한 주거권 논의
7. 디폴트와 모라토리엄 그리고 공간의 위기
8. 교통 문제와 무료 버스 운행
9. 탈토건의 정부체계 개편
10. 생태적 세제개편
11. 주상복합의 비극 그리고 공간의 재구성
12. 생태적 삶과 국민들의 경제생활, '마케팅 사회'의 해체
에필로그│푸어맨스 무디 블루스
별첨 1 생태경제학의 짧은 역사
별첨 2 독습자를 위한 짧은 참고문헌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