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남명의 문학
제1장 남명문학 연구의 문제와 전망
1. 남명 문학 연구의 반성
2. 남명 문학 연구사의 흐름
3. 남명 문학 연구의 문제2)
4. 남명 문학 연구의 현재와 미래
제2장 남명 시에 나타난 부정 대상의 유형과 성격
1. 부정 대상의 유형
2. 부정 대상인 行爲의 유형과 성격
3. 부정대상인 事象의 유형과 성격
4. 부정 대상인 牲狀의 유형과 성격
5. 대상 부정의 의미
제3장 남명 시에 나타난 부정 어법의 문장 유형과 성격
1. 논의의 필요성과 방향
2. 부정 어법의 문장 유형
3. 부정 어법 문장 유형의 성격
4. 부정 어법 문장 유형과 성격의 의미
제4장 남명 시에 나타난 부정 어법의 문맥 유형과 성격
1. 부정 어법의 문맥 유형
2. 인과 관계의 문맥과 성격
3. 역접 관계의 문맥과 성격
4. 나열 관계의 문맥과 성격
5. 주술 관계의 문맥과 성격
6. 부정 어법 문맥 유형의 성격과 의미
제5장 남명 시 세계의 전체적 성격
1. 남명 시의 성격
2. 일상적·이념적 성격
3. 정치적·자연적 성격
4. 남명 시의 유기적 성격
제2부 한강의 문학과 심학
제1장 남명 시와 대비적 관점에서 본 寒岡詩의 성격
1. 한강과 남명의 시
2. 회귀의 정치성
3. 궁구의 이념성
4. 有錝의 일상성
5. 한강 시와 남명 시의 거리
제2장 寒岡 挽時의 성격
1. 한강의 만시
2. 私的 事緣 진술의 叙事牲
3. 公的 稱頌 표현의 敎过牲
4. 私·公的 애도 표출의 抒情牲
5. 한강 만시의 다층적 성격
제3장 <心經發揮>에 나타난 寒岡 心學의 특성
1. 『심경발휘』와 『심경부주』
2. 편집 경위와 체계
3. 한강 심학의 특성
4. 天人 調如와 敬 중심의 心學
제4장 南冥·退溪와의 대비적 관점에서 본 한강 심학
1. 한강 심학의 맥락
2. 한강 심학의 存在論的 基盤
3. 한강 심학의 方法論的 牲格
4. 한강 심학의 實踐的 牲格
5. 한강 심학의 존재론·방법론·실천성
제5장 한강 심학의 敎學的 牲格
1. 敎學의 길
2. 敎學의 理想
3. 敎學의 方法
4. 敬·義, 尊德性·道問學의 조화
[부록]
조식과의 대비적 관점에서 본 최영경 문학
1. 최영경과 조식
2. 재도론적 문학론의 내적 지속과 변화
3. 한시에 나타난 이념상의 지속과 변화
4. 한문에 구현된 수사상의 지속과 변화
5. 문학론과 문학의 지속과 변화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