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및 방법
2. 연구사 검토
제2장 사상과 문학관
1. 완성적 세계 지향과 유불선 사상
2. 독서편력과 영향관계
3. 시서화의 예술관과 문학관
제3장 형식의 변이와 특성
1. 『시』와 산문시
1) 정형적 형식과 산문시
2) 이야기 수용과 서술시적 특질
3) 화자의 변용과 어조
2. 『구곡』과 연작장시
1) 연작시 선택과 아리랑
2) 초현실주의와 선시적 특질
3. 『송 백팔』과 게송
1) 게송과 송찬
2) 수사기법의 다양성
4. 『구거』와 사행시
1) 사행시와 원환구조
2) 운율의 수용과 서정성 강화
제4장 의미의 전개와 특성
1. 『시』와 비극적 세계 인식
1) 불가해한 시대의 어둠과 초극의지
2) 신화적 상상력과 환상성
2. 『구곡』과 진리의 노래 탐색
1) 구도의 여정과 개안의 화두
2) 내적 자유를 향한 부정과 침묵
3. 『송 백딸』과 원융의 세계 지향
1) 말씀의 송찬과 제의성
2) 손의 합장과 불이성
4. 『구거』와 동일성 회복의 시공간
1) 어린이로의 환원과 가역적 시간
2) 집의 변용과 초탈의 공간
제5장 이미지의 유형과 시 의식
1. 몸 이미지와 현실의 상호반영
1) 억압과 생성의 영어성
2) 불구적 현실과 몸의 불구성
3) 탄트리즘적 욕망과 합일
2. 거울 이미지와 자의식
1) 유리창과 이상의 투사
2) 결핍과 부재의 분열적 자아
3) 승화와 완성적 자아 지향
3. 물 이미지와 도의 구현
1) 원천과 무위의 절대자유
2) 생성과 소멸의 순환성
3) 모천으로의 회귀와 구원
제6장 결론 및 시사적 의의
참고문헌
<생애 및 시작품 연보>
생애 연보
시작품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