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1. 서론
1.1 문제제기
1.2 연구목적과 의의
1.3 연구 대상 및 언어자료
1.4 연구 개요

2. 이론적 틀
2.1 사태파악(事態把握)
2.2 일본어 화자가 <선호하는 표현>으로서의 <주관적 파악>
2.3 <주관적 파악>과 일본어·한국어·영어·중국어와의 비교
2.3.1 한일 양언어의 <표현구조>
2.3.1.1|<표현구조>
2.3.1.2|일본어의 ‘명사지향 구조’와 한국어의 ‘동사지향 구조’
2.3.1.3|일본어의 수동표현과 한국어의 능동표현
2.3.2 <주관적 파악>을 둘러싼 선행 연구
2.3.2.1|<주관성>의 정도:Uehara(2000, 2006)와 우에하라(上 2001)
2.3.2.2|일본어와 중국어의 동사 사용과 주어 명시 : (2006)
2.3.2.3|일본어·중국어·영어의 지시사 : 니무라(新村 2006)
2.3.2.4|화용론의 관점에서 - 일본어 화자와 영어 화자의 인식 태도: 이데(井出 2006)

3. 선행 연구
3.1 일본어의 ‘ていく/くる’에 관한 선행 연구
3.1.1 ‘ていく/くる’에 관한 선행 연구
3.1.1.1|‘공간적 이동’과 ‘시간적 이동’
3.1.1.2|‘ていく’와 ‘てくる’의 대칭/비대칭
3.1.1.3| 화자의 영역 표현 ‘ていく/くる’
3.1.2 ‘てくる’에 특화한 선행 연구
3.1.2.1|화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てくる’
3.1.2.2|보조동사 ‘てくる’의 다섯 가지 용법
3.1.2.3|역행태 표지로서의 ‘てくる’
3.1.3 마무리 : 선행 연구의 ‘ていく/くる’용법
3.2 한국어의 ‘어 가다/오다’에 관한 선행 연구
3.2.1 ‘공간적 이동’과 ‘동작 계속’, ‘상태 변화’
3.2.2 ‘어 가다/어 오다/고 있다’의 의미 비교
3.2.3 보조동사 ‘어 가다/오다’의 상적 의미
3.2.3 보조동사 ‘어 가다/오다’의 법성적 의미
3.2.4.1|‘어 가다’의 법성적 의미
3.2.4.2|‘어 오다’의 법성적 의미

4 분석과 고찰 : ‘行く/ る’, ‘ていく/くる’와 ‘가다/오다’, ‘어 가다/오다’의 비교·대조
4.1 본동사로서의 용법 : ‘行く/ る’와 ‘가다/오다’
4.1.1 ‘行く/ る’와 ‘가다/오다’의 원형적 용법
4.1.2 ‘行く/ る’와 ‘가다/오다’의 확장 용법
4.2 보조동사로서의 용법 : ‘ていく/くる’와 ‘어 가다/오다’
4.2.1 ‘てくる’와 ‘어 오다’의 대응관계
4.2.1.1|‘てくる’와 ‘어 오다’의 도식
4.2.1.2|‘てくる’와 ‘어 오다’의 공간 용법
4.2.1.3|‘てくる’와 ‘어 오다’의 확장 용법
4.2.1.4|‘ る/てくる’와 ‘오다/어 오다’의 의미망
4.2.2 일본어의 ‘ていく’와 한국어의 ‘어 가다’의 대응관계
4.2.2.1|‘ていく’와 ‘어 가다’의 도식
4.2.2.2|‘ていく’와 ‘어 가다’의 공간 용법
4.2.2.3|‘ていく’와 ‘어 가다’의 확장 용법
4.2.2.4|‘行く/ている’와 ‘가다/어 가다’의 의미망

5. <사태파악> 차이의 한 측면으로서 본 - ‘ていく/くる’, ‘てもらう’, 주어 생략-
5.1 상태를 나타내는 ‘てくる/いく’와 그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
5.1.1 일본어의 ‘ている/くる’가 한국어에서 더 특정화된 의미 표현으로 바뀐 경우
5.1.2 일본어의 ‘ている/くる’가 한국어에서 ‘변화/수동’의 의미 표현으로 바뀐 경우
5.1.3 일본어의 ‘ている/くる’와 한국어 ‘어 가다/오다’의 용법이 반대로 나타나는 경우
5.1.4 일본어의 ‘ている/くる’가 한국어에서 ‘진행/지속’표현으로 바뀐 경우
5.2 ‘てもらう’와 그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
5.2.1 ‘てもらう’와 ‘어 주다’
5.2.2 ‘てもらう’와 수동성 표현
5.2.3 ‘てもらう’와 ‘어 달라’
5.2.4 ‘てもらう’와 형식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
5.2.4.1|반의어 관계 짝 동사
5.3 주어 생략과 자기(自己)의 <제로화>
5.4 언어유형의 매개변인로서의 <주관성>과 그 정도
5.4.1 일본어의 ‘ていく/くる’와 한국어의 ‘어 가다/오다’의 사용빈도에서 보는 <주관성>의 정도
5.4.2 <주관성>의 정도 : 일본어·한국어·영어

6. 결론

참고 문헌
참고 사전
언어 자료
要旨
Summary
색인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ようこそ) 일본어문법 : 일본어 초보자의 눈높이에 맞춰 체계적으로 서술한 일본어 문법서 (ようこそ) 일본어문법 : 일본어 초보자의 눈높이에 맞춰 체계적으로 서술한 일본어 문법서 2013 / 지은이: 박선옥 / 재팬리서치21
일본어 문법 플러스 일본어 문법 플러스 2001 / 박유자 감수 ; 기획편집부 편 / 제이플러스
(시험에 강해지는) 핵심 일본어문법 50항목 : 가지고 다니는 나만의 문법사전 (시험에 강해지는) 핵심 일본어문법 50항목 : 가지고 다니는 나만의 문법사전 2019 / 지음: [제이플러스]기획편집부 / ; 감수: 박유자 / 제이플러스
(시험에 강해지는) 핵심 일본어문법 50항목 : 가지고 다니는 나만의 문법사전 (시험에 강해지는) 핵심 일본어문법 50항목 : 가지고 다니는 나만의 문법사전 2019 / 지음: [제이플러스]기획편집부 / ; 감수: 박유자 / 제이플러스
(일본어뱅크)탄탄한 일본어 문법책 (일본어뱅크)탄탄한 일본어 문법책 2018 / 공저: 박재환 ; 이현숙 / 동양북스
(장면으로 배우는) 실용일본어문법 (장면으로 배우는) 실용일본어문법 2018 / 저자: 배은정 ; 나유정 ; 전종미 /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장면으로 배우는) 실용일본어문법 (장면으로 배우는) 실용일본어문법 2018 / 저자: 배은정 ; 나유정 ; 전종미 /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사태파악>의 한일대조연구 : 'てぃく/くる'와 '어 가다/오다'의 보조동사 용법을 중심으로 <사태파악>의 한일대조연구 : 'てぃく/くる'와 '어 가다/오다'의 보조동사 용법을 중심으로 2011 / 서민정 지음 / 제이앤씨
(기초문법과 언어학을 위한)고전 일본어 문법 (기초문법과 언어학을 위한)고전 일본어 문법 2000 / 설근수 저 / 학문사
(초·중급자에게 딱 맞는)시스템 일본어 문법 (초·중급자에게 딱 맞는)시스템 일본어 문법 2007 / 송규원 ; 신노 토모코 [공]저 / 사람in
일본어의 원리에 눈도장을 꼭 찍어라 일본어의 원리에 눈도장을 꼭 찍어라 2000 / 송상엽 편저 / 을지외국어
일본어 문법사전  : 기초 문법부터 고급 문법까지 한 권으로 끝! 일본어 문법사전 : 기초 문법부터 고급 문법까지 한 권으로 끝! 2018 / 지음: 송수영 / 넥서스
실전 일본어 문법  : 초·중급용 실전 일본어 문법 : 초·중급용 2017 / 저자: 송원 / 송원(songwon)
(나혼자 끝내는) 독학 일본어 문법 (나혼자 끝내는) 독학 일본어 문법 2017 / 지음: 송현미 / 넥서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일본어 문법 Level UP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일본어 문법 Level UP 2004 / 오미선 외 지음 / 다락원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近代日本語受身文体系の成立  : 同時期における韓国語被動文の考察を含めて  = 근대 일본어 수동문 체계의 성립 : 동 시기 한국어 피동문의 고찰을 포함하여 近代日本語受身文体系の成立 : 同時期における韓国語被動文の考察を含めて = 근대 일본어 수동문 체계의 성립 : 동 시기 한국어 피동문의 고찰을 포함하여 2018 / 著: 韓静姸 / 한국문화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