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일러두기
춤의 위기는 극복될 수 있는가
제1장 춤평단의 형성과 춤의 위기
『춤』지 30년과 한국 춤평단의 형성
1. 들어가며
2.『춤』지 30년과 한국의 춤
3. 『춤』지 이전 한국 춤비평의 맥락
4. 『춤』지 이후 춤평단의 형성과 의의
5. 나오며 : 내일의 춤비평을 위하여
『춤』지 창간 30주년과 조동화
1. 『춤』지 창간 30주년의 의미
2. 구술채록을 시작하며
3. 구술채록의 개요
4. 조동화 구술채록의 의의
5. 구술채록 후기, 그리고 남는 문제
춤의 위기 : 비판과 성찰
1. 왜 춤의 ‘위기’ 인가
2. 오늘의 춤, 비판과 성찰
3. 탈脫관료화, 사적私的권력화(?)
4. ‘현실’을 직시하며
무용계의 세대교체와 지형변화
1. 들어가며
2. 춤의 환경변화와 세대교체
3. 제도ㆍ정책의 명암
4. 나오며
국립현대무용단 창단방향 재고再考
1. 반세기 숙원을 이루다
2. 국립현대무용단 창단방향
3. 시장성과 공공성의 경게에서
4. 정책적 결단이 필요한 때
제2장 예술춤의 미학적 좌표
국립무용단의 행보와 미학적 좌표
1. 국립무용단이 걸어온 길
2. 국립무용단의 예술적 행보
3. 국립무용단의 미학적 좌표
‘아비투스habitus' 와 유목민적 근성의 예술적 승화
1. 개괄적 조망 또는 엿보기
2. 내적 필연성과 작가적 진정성의 발현-「처녀길」ㆍ「솟나기」를 중심으로
3. 남긴 것, 그리고 가야할 길
유폐된 진실과 전통춤의 공연미학
1. 완전한(?) 우리춤
2. ‘全舞珝舞‘를 통해 본 우리춤의 진수
3. 공연미학적 접근이 필요한 전통춤
한국발레의 토착화는 요원한가
제3장 예술춤의 새 지평
춤의 ‘식민성’을 경계하는 코스모폴리탄-최상철
현대춤의 예술적 진화를 모색하는 아무자-전미숙
한국 발레교육의 새지평을 열다-김선희
자아실현의 방편으로 춤을 춘다-이경옥
개념과 철학으로 무장한 한국춤 안무가-김윤수
한국춤 고유의 심미성을 내면화하다-홍금산
정재 제3세대의 선두주자-심숙경
비상을 꿈꾸는 젊은 안무자-정연수
제4장 춤의 미래 전망
미래에서 불확실함, 그 위기감 속에 자기 정체성 찾기
젊은 개성들의 다양한 자아분출 돋보여
작품수준 예년에 못미처
진지한 자세로 활력있는 무대 창출
새 축이 만들어지는 무용계의 세대교체
무용계를 위한 일에는 모두가 공적公的 의식 가져야
무용계 중견세대의 역할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