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제1장 인간의 자기이해를 위한 모색
1.1. 들어가는 말
1.2. 예술에 대한 사유와 인간 삶의 이해
1.3. 삶의 공간과 예술
1.4. 해체의 국면에서 정체성을 찾는 문제
1.5. 맺는 말
제2장 삶에 대한 이성적 태도: 서구 근대 이성과 미적 이성의 문제
2.1. 들어가는 말
2.2. 근대이성의 특성
2.3. 이성의 유추 혹은 유사이성으로서의 미적 이성
2.4. 미적 이성과 오성
2.5. 미적 이성과 구상력
2.6. 미적 이성과 합목적성
2.7. 미적 이성과 실천이성
2.8. 맺는 말
제3장 인간성 고양을 위한 미적 교육
3.1. 들어가는 말
3.2. 예술과 미적 교육
3.3. 미와 예술의 연관성
3.4. 인간 심성의 교화와 미적 문제
제4장 기성품에 대한 미적 이해: 뒤샹과 칸트의 미학
4.1. 들어가는 말
4.2. 뒤샹의 삶과 예술
4.3. 미적 판단과 개념의 문제
4.4. 뒤샹 이후의 칸트: 모던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모색
4.5. 맺는 말
제5장 작품해석에 있어서 언어성과 해석학적 경험의 문제
5.1. 들어가는 말
5.2. 작품 해석과 언어성
5.3. 작품해석에서의 의도와 관점
5.4. 해석학적 경험
제6장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6.1. 들어가는 말
6.2. 활성화를 위한 제도
6.3. 문화예술의 현실과 이상
6.4. 지역에서의 문화예술교육
제7장 만남과 소통, 치유를 위한 예술
7.1. 인간이해를 위한 법과 예술의 만남: 서울복부지방법원 신청사에 설치한 미술품과 관련하여
7.2. 더 나은 삶을 위한 미적 소통
7.3. 치유(治癒)로서의 미술
제8장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미적 조망
8.1. '눈과 정신'에 대한 이해
8.2.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그리는 자연-소현(素玄) 이인실(李仁實)의 작품세계
8.3.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관계-콤플렉스에 대한 조형적 성찰: 서범석의 작품세계
8.4. 기억의 흔적을 통한 근원 탐구: 문주호이 작품세계
8.5. 일상 안의 질서와 조화-사물 속의 작은 우주: 최정숙의 예술세계
제9장 상징과 초월로서의 미
9.1. 의미의 압축과 상징으로서의 해저(海底) 이미지: 박복규의 작품과 예술세계
9.2. 해방과 초월의 의미-날개를 통한 비상(飛上): 김지현의 작품세계
9.3. '빛'의 의미: 이호성의 작품세계
9.4. 생명에 대한 찬양: 강승애의 작품세계
제10장 해석과 표현
10.1. 물성(物性)에 대한 해석과 표현으로서의 조형세계: 조각가 백문기의 작품
10.2. 회화적 평면의 확장과 재해석: 김혜영의 작품세계
10.3. 생활 속의 소통을 위한 도자공예: 강흥석의 작품세계
10.4. 민화에 대한 해석을 통한 자기이해의 모색: 김지혜의 작품세계
10.5. 풍부한 양감과 절제된 균형의 아름다움: 민복진의 모자상(母子像)과 가족상(家族像)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