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근대 여행문화의 출발과 과정을 당시 발행되었던 여행안내서, 지지, 기행문, 지도, 여행 잡지, 시각표, 여행에 관한 담론 등을 통해 촘촘히 살핀 책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관광의 역사와 한국 근대 관광의 위치 1. 한국 관광연구의 현재 2. 근대적 여행과 근대적 세계 3. 여행을 향한 욕망과 한국 4. 일본의 근대화와 여행의 역사 5. 한국 근대 관광의 문헌을 통한 접근 6. 전략적 관광으로
제2장 타자를 통하여 발견된 근대 한국 1. 욕망의 대상이 된 한국 2. 이방인에 의한 근대 한국 스케치 3. 서양인의 근대 한국여행 4. 그들이 보았던 한국인 5. 서양인이 본 조선속의 일본 6. 한국을 바라보는 주관과 객관
제3장 <지도> 소유와 한국 근대 '관광' 1. 경계의 붕괴-공간소유에 대한 갈망 2. 한국의 근대 지도의 정치성 3. 일본지도 측량사와 한국의 근대 4. 여행안내서와 지도의 전략성 5. 일지주유권과 지도 6. '근대'를 향한 감각
제4장 일본 근대의 '외지' 여행안내서 1. 여행안내서 출판과 담론 공간 2.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철도 3. 일본 근대 여행안내서와 대륙의 밀착성 4. 여행서의 출판동기와 여행하는 신체 5. 여행안내서 속의 '경성' 6. 재구축된 공간을서의 '조선'
제5장 새로운 일본을 바라보는 필터로서의 식민지 1. 관광사업의 서막 2. 근대의 여행안내서에 대하여 3. 영어라는 필터에 걸러져 소개되는 조선 4. 일본어라는 필터에 걸러져 소개되는 조선 5. 근대의 여행과'즐거움' 6. 새로운 '일본'구경과 식민지 기본 7. 근대적 자아형성과 제국주의 8. 지리적 확대와 제국주의적 욕망
제6장 일본문학자 다카하마 교시의 '조선' 1. 다카하마 교시의『朝鮮』 2. 근대일본과 교시 문학의위치 3. 통과하는 여행-조선풍경의 단편화 4. 향유하는 여행-식민지 여행의 '즐거움'과 '환상' 5. 관람하는 여행-관광지에 대한 특수한 의미부여 6. 실현하는 여행-'대동강 뱃놀이' 7. 특수와 평범 사이의 문학
제7장 전략으로서의 리얼리티와 '평양' 1. '외지'여행의 의미 2. 타카하마 교시의 『조선』과 여행안내서의 평양 3. '평양'에 대한 새로운 의미부여 4. 소생(蘇る)하는 '평양' 5. 평양은 기생의 고장 5. 허구의 리얼리즘과 평양
제8장 금강선, 기이한 세계로의 초대 1. 한국최고의 고나광지 금강산 2. 금강산 관광의 의미 3. 일본 여행안내서를 통한 금강산으로의 초대 4. 전략적으로 노래되는 금강산 5. 기호로서의 '수양' 6. 수양과 취미의 관광지 금강산
제9장 일본 지식인 아베 요시시게, 조선을 거닐다 1. 아베 요시시게의 『청구잡기(靑丘雜記)』 2. '아름다운 폐허'에 손을 대지 말자! 3. 조선 문화의 '소유'와 '소통' 4. 아베와 다른 지식인들을 통해 본 조선인의 일상 5. '조선적'인 '관광지'에 대한 이상의 한계 6. 욕망이 만들어낸 환상
제10장 근대 관광 잡지 『관광조선』의 탄생 1. 전문 관광 잡지의 탄생 2. '대중성'을 향한 『관광조선』의 시도 3. 시각적 효과와 '여자' 4. 전략으로서의 『관광조선』 5.『관광조선』의 '특집클럽' 6. 욕망의 굴레와 관광잡지
제11장 즐거움과 여유로의 현대 한일관광의 발자취 1. 일본인의 관광에서 투어리즘으로 2. 일본현대 관광의 계보와 『觀光白書』(1964~2007)를 통하여 본 일본인의 한국관광의 흐름 3. 현대 한국관광정책과 일본 4. 현대일본의 한국 여행잡지 5.「루루부」(1994-2009)를 통하여 본 한국여행 가이드 6. 한국에서 한국인에 대한 관심으로
제12장 『아에라(AERA)』를 통해본 한국 '환상' 1. 한국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와 '한류' 2. '한류'의 특수화에서 보편화로 3. '한류'를 매개로한 한국관광 테스트 4. 일본인이 본 한국, 한국인-일본 잡지 『아에라』를 통해 5. 다음세대로 가기 위하여
글을 처음 실은 곳 사진 및 그림의 출처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박은식과 신채호 사상의 비교연구2002 / 배용일 저 / 경인문화사
금서, 시대를 읽다 : 문화투쟁으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2012 / 백승종 지음 / 산처럼
금서, 시대를 읽다 : 문화투쟁으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2012 / 백승종 지음 / 산처럼
번안 사회 : 제국과 식민지의 번안이 만든 근대의 제도, 일상, 문화2018 / 지음: 백욱인 / Humanist(휴머니스트 출판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