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역사의 현장 속으로 뛰어들어 전근대 자료와 사투를 벌이고, 자료 발견의 기쁨으로 연구에 몰두하여 논문을 쓰고, 과거를 현재에 적용하는 연구와 집필을 지속하고 있는 인문학자 정민. 그가 근 5년 이상 집요하리만큼 다산의 자료를 발굴하고 연구한 글 22편을 모아 엮은 책이다.
목차
제1부│다산의 강진 강학, 제자 교육
다산 강진 강학과 제자 교학방식
1 다산의 강진 강학
1) 사의재 시기, 1801년 겨울~1806년 여름
2) 보은산방 시기, 1805년 겨울
3) 이학래 가(家) 묵재(墨齎)시기, 1806년 가을~1808년 봄
4) 다산초당 시기, 1808년 봄~1818년 8월
2 다산의 교학 방식
1) 단계별 교육
2) 전공별 교육
3) 맞춤형 교육
4) 실전형 교육
5) 토론형 교육
6) 집체형 교육
3 강진 교학의 성과
4 다양한 방식들의 이상적인 조합
《다산여황상서간첩》의 내용과 자료가치
1 서간첩의 구성과 내용
2 서갑첩의 자료 가치
1) 동천여사 강학기의 제자와 교학 실상
2) 황상에 대한 다산의 애정과 교왕(교왕)
3) 그 밖의 정보들
3 《다산여황상서간첩》의 의미와 의의
[부록]《다산여황상서간첩》역문 및 탈초 원문
초의에게 준 다산의 당부
1 공부의 마음가짐과 차례
2 유교와 불교의 미래
3 초의에 대한 각별한 애정
다산의 선문답
1 어찌해야 합니까?
2 내 몽둥이를 한 방 먹어라
3 생각해보게나
제2부│다산의 사지 편찬과 불승과의 교유
다산과 은봉의 《만일암지》
1 은봉은 어떤 승려인가?
2 은봉에게 보낸 다산의 편지
3 《만일암지》에 대하여
다산이 호의에게 보낸 편지첩《매옥서궤》
1 《매옥서궤》의 서지와 내용 소개
2 《매옥서궤》의 자료 가치
1) 다산의《대둔사지》편찬 관련 내용
2) 승려와의 교유와 강학 활동
3) 다산의 초당 생활과 제자들에 대한 정보
3 새로운 사실, 다산학의 재구성
[부록]《매옥서궤》역문 및 탈초 원문
다산과 혜장의 교유와 두 개의 《견월첩》
1 다산이 혜장에게 준 글을 모은《견월첩》
2 혜장이 다산에게 준 글을 모은《견월첩》
3 혜장과의 다채로운 교유상
새로 찾은 다산의〈산거잡영〉 24수
1 〈산거잡영〉시 수록 문헌과 창작 시기
2 〈산거잡영〉시 24수 번역
3 시에 보이는 다산초당의 사계와 다산의 일상
대흥사 천불전 부처의 일본 표류와 〈조선표객도〉
1 천불천 부처의 일본 표류 경과
2 〈조선표객도〉와 표류승의 시문
3 다산의 관련 편지 2통
제3부│다산의 공간 경영과 생활 여백
다산 정약용의 이상주거론
1 18, 19세기 원림문화와 다산의 이상주거론
2 다산의 이상주거론
1) 포치와 국세
2) 주거 내부
3) 주거 주변
4) 주거 외곽
5) 가계 경영과 기거 일상
3 자족형 생활공간의 구현
다산이 철선에게 준《다산송철선증언첩》
1 승려의 이상적 거처와 생활
2 집물(什物)의 구비와 문화의 안목
3 호의와 수룡에게 보낸 시와 차운시 연작
4 정학연의 금강산 장구(長句)와 송별시
다산의 초당 경영과 공간 구성
1 다산의 초당 정착과 초기 모습
2 다산의 초당 경영과 공간 재배치
3 문산과의 교유와 다산십이경
4 다산이 떠난 뒤의 초당 모습
5 1930년대 초당의 모습
6 오늘날의 다산초당과 재복원 문제
다산의 평생구학론-이성화에게 준 친필 서첩 3종
1 〈송이성화장귀서〉와 이성화
2 〈초천사시사(苕川四時詞)〉의 상심락사
3 〈여성화시(與聖華詩)〉10수와 평생구학론
다산 정약용의 부자론
1 두 개의 저울
2 두 사람의 부자 이야기
3 생각을 바꿔라
4 규모 경제와 원포 경영
다산이 딸을 위해 그린 〈매조도〉
1 맷새 한 쌍 내 뜰에 머물러
2 한 마리만 남아 하늘가를 떠돌리
3 노래로 남은 홍임 모녀
4 그림이 이인행에게 건너간 사연
제4부│다산 일문(逸文)의 행간과 낙수(落穗)
신헌의 《금당기주》와 다산의 일문
1 《금당기주》의 내용과 다산의 일문
2 《초의선게첩》
3 〈시작법〉
4 〈송초의팔자분운시〉
다산과 이인행의 남북학술 논쟁
1 왕복 자료 개관 및 다산과 이인행의 교유
2 다산과 이인행의 논쟁 경과와 쟁점
1) 다산의〈논영남학술설(論嶺南學術設)〉
2) 다산의〈논폐영남편당설(論弊嶺南偏黨說)〉
3) 이인행의〈서정미용증언후(書丁美庸贈言後)〉
4) 이인행의〈여정미용〉
5)이인행의〈여정미용〉외 2통
3 학술논쟁의 의미
다산이 이강회의 이름으로 추사에게 보낸 편지
1 편지 전문 탈초와 번역
2 편지의 발신자에 대하여
3 대둔사로 온 《복초재집》과 〈소영은〉제액에 대하여
정학연의 《공후인시첩》고(攷)
1 시첩의 자료 현황
2 시첩의 내용과 자료 가치
1) 정학연의〈공후인〉
2) 정학연의〈억석유〉
3) 정대번의〈봉증초의(奉贈草衣)〉
4) 운암과 월사의〈운암월사회우토굴(雲广月槎會于土窟)〉
3 초의와 다산 후손과의 지속적인 교류
1805년 정학연의 두륜산 유람 시문
1 〈유두륜산기〉의 전문과 내용
2 다산 부자의 대둔사 승려와의 교유
3 두륜산 유람을 노래한 한시
1830년 겨울, 초의의 눈보라 속 수종사 유람
1 우레와 폭설 속의 수종사 유람
2 초의, 그는 누구인가?
3 눈보라 속 수종사 달구경 놀이
황상의 일속산방 경영과 산가 생활
1 다산이 황상에게 준〈제황상유인첩〉
2 황상의 일속산방 경영과〈일속산방기〉
1) 일속산방 경영 시기
2) 일속산방 관련 기문
3 일속산방의공간 배치와 산가 생활
1) 일속산방의 공간배치
2) 일속산방의 산가 생활
4 전통 원림 연구의 중요한 자료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