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역사의 현장 속으로 뛰어들어 전근대 자료와 사투를 벌이고, 자료 발견의 기쁨으로 연구에 몰두하여 논문을 쓰고, 과거를 현재에 적용하는 연구와 집필을 지속하고 있는 인문학자 정민. 그가 근 5년 이상 집요하리만큼 다산의 자료를 발굴하고 연구한 글 22편을 모아 엮은 책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제1부│다산의 강진 강학, 제자 교육
다산 강진 강학과 제자 교학방식
1 다산의 강진 강학
1) 사의재 시기, 1801년 겨울~1806년 여름
2) 보은산방 시기, 1805년 겨울
3) 이학래 가(家) 묵재(墨齎)시기, 1806년 가을~1808년 봄
4) 다산초당 시기, 1808년 봄~1818년 8월
2 다산의 교학 방식
1) 단계별 교육
2) 전공별 교육
3) 맞춤형 교육
4) 실전형 교육
5) 토론형 교육
6) 집체형 교육
3 강진 교학의 성과
4 다양한 방식들의 이상적인 조합
《다산여황상서간첩》의 내용과 자료가치
1 서간첩의 구성과 내용
2 서갑첩의 자료 가치
1) 동천여사 강학기의 제자와 교학 실상
2) 황상에 대한 다산의 애정과 교왕(교왕)
3) 그 밖의 정보들
3 《다산여황상서간첩》의 의미와 의의
[부록]《다산여황상서간첩》역문 및 탈초 원문
초의에게 준 다산의 당부
1 공부의 마음가짐과 차례
2 유교와 불교의 미래
3 초의에 대한 각별한 애정
다산의 선문답
1 어찌해야 합니까?
2 내 몽둥이를 한 방 먹어라
3 생각해보게나

제2부│다산의 사지 편찬과 불승과의 교유
다산과 은봉의 《만일암지》
1 은봉은 어떤 승려인가?
2 은봉에게 보낸 다산의 편지
3 《만일암지》에 대하여
다산이 호의에게 보낸 편지첩《매옥서궤》
1 《매옥서궤》의 서지와 내용 소개
2 《매옥서궤》의 자료 가치
1) 다산의《대둔사지》편찬 관련 내용
2) 승려와의 교유와 강학 활동
3) 다산의 초당 생활과 제자들에 대한 정보
3 새로운 사실, 다산학의 재구성
[부록]《매옥서궤》역문 및 탈초 원문
다산과 혜장의 교유와 두 개의 《견월첩》
1 다산이 혜장에게 준 글을 모은《견월첩》
2 혜장이 다산에게 준 글을 모은《견월첩》
3 혜장과의 다채로운 교유상
새로 찾은 다산의〈산거잡영〉 24수
1 〈산거잡영〉시 수록 문헌과 창작 시기
2 〈산거잡영〉시 24수 번역
3 시에 보이는 다산초당의 사계와 다산의 일상
대흥사 천불전 부처의 일본 표류와 〈조선표객도〉
1 천불천 부처의 일본 표류 경과
2 〈조선표객도〉와 표류승의 시문
3 다산의 관련 편지 2통

제3부│다산의 공간 경영과 생활 여백
다산 정약용의 이상주거론
1 18, 19세기 원림문화와 다산의 이상주거론
2 다산의 이상주거론
1) 포치와 국세
2) 주거 내부
3) 주거 주변
4) 주거 외곽
5) 가계 경영과 기거 일상
3 자족형 생활공간의 구현
다산이 철선에게 준《다산송철선증언첩》
1 승려의 이상적 거처와 생활
2 집물(什物)의 구비와 문화의 안목
3 호의와 수룡에게 보낸 시와 차운시 연작
4 정학연의 금강산 장구(長句)와 송별시
다산의 초당 경영과 공간 구성
1 다산의 초당 정착과 초기 모습
2 다산의 초당 경영과 공간 재배치
3 문산과의 교유와 다산십이경
4 다산이 떠난 뒤의 초당 모습
5 1930년대 초당의 모습
6 오늘날의 다산초당과 재복원 문제
다산의 평생구학론-이성화에게 준 친필 서첩 3종
1 〈송이성화장귀서〉와 이성화
2 〈초천사시사(苕川四時詞)〉의 상심락사
3 〈여성화시(與聖華詩)〉10수와 평생구학론
다산 정약용의 부자론
1 두 개의 저울
2 두 사람의 부자 이야기
3 생각을 바꿔라
4 규모 경제와 원포 경영
다산이 딸을 위해 그린 〈매조도〉
1 맷새 한 쌍 내 뜰에 머물러
2 한 마리만 남아 하늘가를 떠돌리
3 노래로 남은 홍임 모녀
4 그림이 이인행에게 건너간 사연

제4부│다산 일문(逸文)의 행간과 낙수(落穗)
신헌의 《금당기주》와 다산의 일문
1 《금당기주》의 내용과 다산의 일문
2 《초의선게첩》
3 〈시작법〉
4 〈송초의팔자분운시〉
다산과 이인행의 남북학술 논쟁
1 왕복 자료 개관 및 다산과 이인행의 교유
2 다산과 이인행의 논쟁 경과와 쟁점
1) 다산의〈논영남학술설(論嶺南學術設)〉
2) 다산의〈논폐영남편당설(論弊嶺南偏黨說)〉
3) 이인행의〈서정미용증언후(書丁美庸贈言後)〉
4) 이인행의〈여정미용〉
5)이인행의〈여정미용〉외 2통
3 학술논쟁의 의미
다산이 이강회의 이름으로 추사에게 보낸 편지
1 편지 전문 탈초와 번역
2 편지의 발신자에 대하여
3 대둔사로 온 《복초재집》과 〈소영은〉제액에 대하여
정학연의 《공후인시첩》고(攷)
1 시첩의 자료 현황
2 시첩의 내용과 자료 가치
1) 정학연의〈공후인〉
2) 정학연의〈억석유〉
3) 정대번의〈봉증초의(奉贈草衣)〉
4) 운암과 월사의〈운암월사회우토굴(雲广月槎會于土窟)〉
3 초의와 다산 후손과의 지속적인 교류
1805년 정학연의 두륜산 유람 시문
1 〈유두륜산기〉의 전문과 내용
2 다산 부자의 대둔사 승려와의 교유
3 두륜산 유람을 노래한 한시
1830년 겨울, 초의의 눈보라 속 수종사 유람
1 우레와 폭설 속의 수종사 유람
2 초의, 그는 누구인가?
3 눈보라 속 수종사 달구경 놀이
황상의 일속산방 경영과 산가 생활
1 다산이 황상에게 준〈제황상유인첩〉
2 황상의 일속산방 경영과〈일속산방기〉
1) 일속산방 경영 시기
2) 일속산방 관련 기문
3 일속산방의공간 배치와 산가 생활
1) 일속산방의 공간배치
2) 일속산방의 산가 생활
4 전통 원림 연구의 중요한 자료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정약용 & 최한기 : 실학에 길을 묻다 정약용 & 최한기 : 실학에 길을 묻다 2007 / 임부연 지음 / 김영사
목민심서 한번 읽어 보지 않겠는가 : [청소년] : 정약용이 쓰고 임승수가 해설한 조선 경제 이야기 목민심서 한번 읽어 보지 않겠는가 : [청소년] : 정약용이 쓰고 임승수가 해설한 조선 경제 이야기 2024 / 지음: 임승수 / 우리학교
21세기에 실학을 읽는다 21세기에 실학을 읽는다 2014 / 임형택 지음 / 한길사
21세기에 실학을 읽는다 21세기에 실학을 읽는다 2014 / 임형택 지음 / 한길사
정약용과 실천의 철학 : 다산 철학의 근대성 탐구 정약용과 실천의 철학 : 다산 철학의 근대성 탐구 2001 / 장승구 지음 / 서광사
다산의 한평생 : 사암선생연보 다산의 한평생 : 사암선생연보 2014 / 정규영 지음 ; 송재소 역주 / 창비
다산의 한평생 : 사암선생연보 다산의 한평생 : 사암선생연보 2014 / 정규영 지음 ; 송재소 역주 / 창비
다산의 재발견  : 다산은 어떻게 조선 최고의 학술 그룹을 조직하고 운영했는가? 다산의 재발견 : 다산은 어떻게 조선 최고의 학술 그룹을 조직하고 운영했는가? 2011 / 정민 지음 /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잊혀진 실학자 이덕리와 동다기 잊혀진 실학자 이덕리와 동다기 2018 / 지음: 정민 / 글항아리
경세유표 Ⅰ 경세유표 Ⅰ 2008 / 정약용 지음 ; 이익성 옮김 / 한길사
경세유표 Ⅱ 경세유표 Ⅱ 2008 / 정약용 지음 ; 이익성 옮김 / 한길사
경세유표 Ⅲ 경세유표 Ⅲ 2008 / 정약용 지음 ; 이익성 옮김 / 한길사
고난의 선물  : 다산 정약용의 1분 수업  : 삶의 지혜를 숙성시킨 조선의 선비 고난의 선물 : 다산 정약용의 1분 수업 : 삶의 지혜를 숙성시킨 조선의 선비 2018 / 지음: 정약용 ; 엮음: 이준구 / 스타북스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2005 / 정약용 지음 ; 장승희 풀어씀 / 풀빛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2005 / 정약용 지음 ; 장승희 풀어씀 / 풀빛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인문학은 밥이다 인문학은 밥이다 2013 / 지은이: 김경집 / RHK알에이치코리아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 2015 / 이어령 지음 / 열림원
(갈림길에서 듣는) 시골 수업  : 한 번쯤 귀촌을 꿈꾼 당신에게 (갈림길에서 듣는) 시골 수업 : 한 번쯤 귀촌을 꿈꾼 당신에게 2017 / 엮음:박승오, 김도윤 / 풀빛
분열하는 제국 : 11개의 미국, 그 라이벌들의 각축전 분열하는 제국 : 11개의 미국, 그 라이벌들의 각축전 2017 / 지음: 콜린 우다드 ; 옮김: 정유진 / 글항아리
몸의 우주성  : 동서양의 고전을 통해 읽는 몸 이야기 몸의 우주성 : 동서양의 고전을 통해 읽는 몸 이야기 2013 / 유아사 야스오 지음 ; 이정배, 이한영 옮김 / 모시는사람들
다산의 논어해석 연구 다산의 논어해석 연구 2003 / 김영호 지음 / 심산
(송재국 교수의)역학담론  : 하늘의 빛 正易, 땅의 소리 周易 = (The) new discussion on the philosophy of change : heaven's light and land's sound (송재국 교수의)역학담론 : 하늘의 빛 正易, 땅의 소리 周易 = (The) new discussion on the philosophy of change : heaven's light and land's sound 2010 / 송재국 지음 / 예문서원
한국의 단시조 156편 한국의 단시조 156편 2015 / 엮음: 이송희 / 책만드는집
(언론인이 쓴) 스님 이야기 (언론인이 쓴) 스님 이야기 2013 / 공종원 지음 / 佛敎春秋社
전원생활도 재테크다 : 부동산 전문기자의 전원주택& 재테크 지침서 전원생활도 재테크다 : 부동산 전문기자의 전원주택& 재테크 지침서 2011 / 박인호 지음 / 진리탐구
일생에 한번은 명심보감을 써라 : 내 마음과 삶이 변화하는 고전 쓰기의 힘 일생에 한번은 명심보감을 써라 : 내 마음과 삶이 변화하는 고전 쓰기의 힘 2015 / 김미화 지음 / 추수밭
못의 시학 : 박지현 시조집 못의 시학 : 박지현 시조집 2017 / 지음: 박지현 / 시와소금
(2015) 농민들 (2015) 농민들 2016 / 지은이: 한국농정신문,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 / 한국농정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다산, 그에게로 가는 길 다산, 그에게로 가는 길 2014 / 김은미, 김영우 [공]지음 / 동녘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공부 : 선비공부 100선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공부 : 선비공부 100선 2009 / 최석기 지음 ; 유수종 ; 윤효석 서화 / 보고사
(북학 또 하나의 보고서,) 설수외사 (북학 또 하나의 보고서,) 설수외사 2011 / 이희경 지음 ; 진재교 외 옮김 / 성균관대학교출판
작품으로 읽는 연암 박지원. 소설편 작품으로 읽는 연암 박지원. 소설편 2012 / 주영숙 지음 / 북치는마을
실학산책. 1 실학산책. 1 1994 / 김아리 편 / 서해문집
너 자신을 혁명하라 : 함석헌명상집 너 자신을 혁명하라 : 함석헌명상집 2003 / 김진 엮음 / 오늘의책
21세기에 태어난 장자 21세기에 태어난 장자 1998 / 이형용지음 / 도서출판 태양
북학의 북학의 2011 / 박제가 지음 ; 이익성 옮김 / 을유문화사
의산문답 : 천지와 인물에 대한 일탈적 우화 의산문답 : 천지와 인물에 대한 일탈적 우화 2019 / 지음: 홍대용 ; 역해: 문중양 / 아카넷
(완역 정본) 북학의 (완역 정본) 북학의 2013 / 박제가 지음 , 안대회 교감 역주 / 돌베개
다산 정약용의 편지글 : 마음은 엄한 스승이다 다산 정약용의 편지글 : 마음은 엄한 스승이다 2009 / 이용형 지음 / 예문서원
우송 김태길 선생의 삶과 사상 우송 김태길 선생의 삶과 사상 2010 / 이명현 외 지음 / 철학과현실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1
50대1
60대2
70대1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1
2018년2
2019년0
2020년0
2021년1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