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02년 출간된 후, 한국 사회 도시정책과 교통.환경 시스템 등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책 <꿈의 도시 꾸리찌바>의 저자 박용남의 2011년 작. 지난 10년 동안 세계 각지의 창조적이며 혁신적인 도시 실험들을 관찰.연구하고, 그것들을 한국 사회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 진행한 노력의 결과물들을 이 책에 담았다.
목차
프롤로그
1장 차 없는 도시를 향한 실험: 프라이부르크
자동차 의존도를 줄이는 데 성공한 도시
유기적으로 연계된 토지 이용과 교통정책
체계적인 대중교통 개선 전략
사이클링과 보행 여건 개선
프라이부르크로부터의 교훈
2장 창조적 도시의 교과서, 꾸리찌바
새로운 도시의 등장
창조도시란 어떤 도시인가
자이메 레르네르의 창조성과 도시 침술
꾸리찌바의 창조도시 만들기 사례
‘쓰레기 아닌 쓰레기’프로그램의 시작
쓰레기 구매에서 녹색교환으로
그 밖의 혁신적인 폐기물 관리정책
‘쓰레기 제로 배출 사회’를 향하여
3장 인터뷰: 꾸리찌바, 그 후 10년
꾸리찌바가 우리 사회에 남긴 것
도시 침술 요법의 사상가, 자이메 레르네르
사기에 의한 디자인, 대형사업
꾸리찌바 열풍 10년, 우리 도시는 무엇을 배웠나
꾸리찌바의 새로운 실험과 도전
4장 저탄소 사회로 가는 지름길, 자전거
파우스티언맨의 변종
자전거 교통의 기본 특성
우리의 자전거 정책
자전거 정책의 전환을 소망하며
5장 두바이 신드롬이 남긴 것
두바이, 미래가 시작되는 곳?
‘생태발자국’으로 본 두바이
바벨탑만 세우려는 우리 지도자들
어떤 세상을 미래 세대에게 물려줄 것인가
6장 나눔과 보살핌의 공동체 실험, 한밭레츠
국내 지역통화운동, 어디까지 왔나?
한밭레츠의 시작
몇 가지 문제점과 새로운 시도들
앞으로의 과제와 전망
지속가능한 세상을 향하여
보론_인터뷰
공동체화폐 ‘두루’로 만드는 행복한 마을, 출범 10년 된 지역 품앗이 ‘한밭레츠’
7장 ‘사랑의 경제’와 지역화폐운동
‘사랑의 경제’가 왜 중요한가
우정과 환대의 공동체
한밭레츠의 성과와 과제
지역화폐운동의 활성화 방안
8장 딜레마에 빠진 그라민 은행 모델
다른 종류의 은행
무하마드 유누스와 그라민 은행
책을 통해서 본 그라민 은행의 얼굴
소액신용금융의 환상과 문제점
9장 세계의 모범 도시들에서 얻은 교훈
살고 싶은 지역사회 만들기의 다양한 유형
외국의 살고 싶은 도시 사례
리더십과 거버넌스
정책적 과제
10장 식량 거버넌스와 도시
MB노믹스가 무시한 ‘불편한 진실’
통합적인 식량체계의 청사진
지역식량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 구상
식량 거버넌스를 향하여
주·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