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 사회가 지금 필요한 것은 바로 공동체를 살리는 힘, 사회과학에 있다. 우석훈 박사의 강의로 만나는 세상을 깊이 읽고 해석하는 방법. 우리 삶을 움직이는 시스템을 밝히고, 세상을 꿰뚫는 통찰과 만날 수 있다. 애덤 스미스에서 에밀 뒤르켐, 데카르트에서 칼 포퍼까지 위대한 사상과 철학, 최신 논쟁과 연구 흐름을 놀랍도록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며, 사회과학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개념들을 소개하였다.
목차
서문 무엇이 공동체를 지키는가!
1강 지금, 우리에는 사회과학이 필요하다
우리가 사회과학으로 말할 수 있는 것들
데카르트의 코기토 선언과 공자의 깨달음
사회과학이란 무엇인가
사회과학이 사회를 살릴 수 있는가
사회과학의 르네상스를 위하여
첫 번째 쪽글 내 삶을 크로키 기법으로 묘사하기
2강 착해지기 vs 똑똑해지기
빨강 머리 앤과 꿀벌의 우화
이기주의 가설과 이타주의 가설
인간의 본성은 바뀔 수 있는가
착해질 것인가 똑똑해질 것인가
똑똑해지기 혹은 집단지식의 힘
두 번째 쪽글 '착해지기'와 '똑똑해지기' 중 나는 어느 쪽에 더 적합한가?
3강 학문이란 무엇인가? : 백과사전형 지식의 귀환
데카르트와 칸트 그리고 헤겔의 성찰
헤겔의 백과사전형 지식, '사이언스'와 '엔치클로페디'
분과 학문 체계가 만들어낸 전문가형 지식
전문가형 지식에서 백과사전형 지식으로, 전문가 시대에서 기획자 시대로
세 번째 쪽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4강 실존과 선택 : 학자의 탄생, 그리고 지지 않는 학문
무無 앞에 선 실존 : 원인 없는 결과는 가능한가?
"실존은 본질에 우선한다" : 무의 원천이면서 모든 걸 무로 되돌리는 실존
인간은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존재
학자의 탄생 :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이탈리아의 에코, 우루과이의 갈레아노, 그렇다면 한국은?
네 번째 쪽글 나의 행위는 돈으로 얼만큼 설명 가능한가?
5강 경제적 인간과 사회적 인간 : 개인, 구조, 그리고 다리
개인을 볼 것인가, 전체를 볼 것인가
왈라스의 개인 : 미시경제학의 경우
케인스의 전체 : 거시경제학의 경우
개인에서 전체로, 혹은 전체에서 개인으로
다른 시도들 : 문화적 접근과 게임이론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다섯 번 째 쪽글 6조 혜능, 돈오돈수, 돈오점수에 대해 아는 대로 적어보기!
6강 설명과 이해 : 과학주의 vs 해석학
과학이란 무엇인가 : 백조가 희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가
과학이란 반증 가능성을 갖는 임시적 가설일 뿐
'설명'의 세계에서 '이해'의 세계로
고장 난 시계와 맥락의 중요성
개인과 구조, 설명과 이해
소통을 넘어 공감의 시대를 여는 사회과학
여섯 번째 쪽글 나는 몇 개의 준거를 가지고 생각하는가?
7강 환원주의와 다원론 : 쉬운 길과 어려운 길
하나, 둘, 그리고 많다
물질이 중요한가, 마음이 중요한가
환원주의와 근본주의
일곱 번째 쪽글 세상에는 ~와 ~가 있다!
8강 균질성과 비균질성 : 주체의 속성
분석 대상에 어떤 속성을 부여할 것인가
'국민'과 '시민'의 차이
대학생은 소비자인가? 지식인인가?
균질적인 모델과 비균질적인 모델
사회과학의 대상은 바로 우리 자신
여덟 번째 쪽글 내 삶의 가장 중요한 결정은? 그것을 만든 변수는?
9강 선형과 비선형 : 단순한 숫자와 복잡한 숫자
선형과 비선형의 세계
네거티브 피드백과 포지티브 피드백
매와 비둘기의 싸움
컴퓨터 자판에서 정부 정책까지, 비선형 모델의 현상들
단선적 성장 중심에서 다양성의 세계로
아홉 번째 쪽글 삶에서 되돌리고 싶은 결정은?
10강 시간을 다루는 법 : 역사에 목적지 같은 건 없다
역사는 정해진 목적지를 향해 가는 항해인가?
목적론적 역사관과 진화론
보편주의와 특수주의
시간의 비가역성 그리고 돈이 되는 시간
우리에게 궁극의 목표 같은 건 없다
열 번째 쪽글 내게 특별한 의미를 갖는 공간들에 대해
11강 공간을 다르는 법 : 걷고 싶은 거리? 굽고 싶은 거리?
걷고 싶은 거리? 굽고 싶은 거리?
'공간'과 '장소'
공간의 구분이냐, 장소의 복원이냐
공간 특성을 배려하지 않는 개발이 유령도시를 만든다
열한 번째 쪽글 어떻게 나만의 이야기를 전개할 것인가?
12강 스토리 라인 잡기 : 작업가설의 유용성
사회과학 연구의 작업가설은 시나리오의 스토리 라인
'설명'과 '이해'를 위한 키워드, '공감'과 '맥락'
수용성의 원칙 그리고 대화하는 방법
열두 번째 쪽글 편지 쓰기
13강 사회과학, 실험은 없다!
사회과학의 연구실은 바로 현실
수다쟁이들의 학문
모두가 꾸는 꿈을 통해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과정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