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의 저자들은 지구화가 만들어내는 여성 이주에 관심을 갖고, 아시아 여성 이주로 인해 일어나는 각국의 현황, 이주여성의 인권 문제, 가족구조의 변화 등을 비롯해서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노인 보살핌 제도화 등에 이르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더 나아가서 지구화 시대의 변화들을 어떤 가치와 인식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목차
발간사
서문 아시아 여성 이주, 가족의 변화, 그리고 향후 과제
1. 들어가는 글
2. 왜 여성이 이주하는가?
3. 여성 이주와 가족구조의 변동
4. 초국적 가족, 재편되는 보살핌 수급
5. 나가는 글
제1부 지구화와 여성
제1장 긍정, 고통, 그리고 임파워먼트
1. 들어가는 글
2. 변형적 또는 긍정의 윤리학
3. 고통과 취약성에 대한 질문
4. 긍정에 관하여
5. 우리에게 일어난 일들을 가치롭게 하기
6. 변신의 윤리학에서의 타자성에 관한 질문
7. 나가는 글
제2장 초국가적 여성 공동체와 지구적 정의
1. 들어가는 글
2. 배경가정들
3. 민족주의와 세계시민주의에서 정의 요구의 행위주체
4. 정의 요구를 구성·지지하는 초국가적인 여성들의 공동체
5. 나가는 글
제3장 젠더와 재생산
1. 들어가는 글
2. 인종 정체성과 비교해본 성 정체성
3. 성의 생물학적 토대
4. 재생산과 이성애
5. 젠더에 대한 유물론적 접근
제2부 아시아 이주의 현장과 가족구조의 변동
제4장 연변 조선족 농촌 여성들의 ‘한국바람’
1. 들어가는 글
2.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3. 연변 H마을 여성들의 한국이주 배경 및 도경
4. 연변 H마을 가족구조의 변동
5. 나가는 글
제5장 스리랑카의 여성 이주노동자와 변화하는 가족
1. 들어가는 글
2. 스리랑카 노동이주 약사(略史)
3. 국제 여성 이주의 두드러진 특징
4. 가구 내부 및 상호 관계의 변화
5. 이주자 가족의 이동성
6. 나가는 글
제6장 태국 불교의 영성 추구와 가족
1. 가족에 관한 불교의 양가감정
2. 가족과/또는 불교에서 여성의 수계(授戒)
3. 불교에서 여성의 수계 문제: 왜 중요한가?
4. 변화하는 가족과 여성의 영적 추구
5. 나가는 글
제7장 떠도는 삶, 필리핀 ‘가족’과 해외 노동이주의 감정성
1. 들어가는 글
2. 필리핀 해외 노동이주: 지역의 목적국과 노동이주의 여성화
3. 감정문화아 가족 이데올로기
4. 여성들의 떠도는 삶 그리고 여성, 어머니, 가족생활에 관한 변함없는 사회적 요구
5. 이데올로기적 갈등과 현실적 갈등
6. 나가는 글
제8장 이주여성 가족들의 변화: 베트남에서 한국, 대만에 이르기까지
1. 들어가는 글
2. 가족, 결혼이주여성의 국가: 마을 연못에서 큰 바다까지
3. 국제결혼이 친정식구들에게 미치는 영향
4. 이주여성의 안전을 돕고 여성·아동매매를 방지하기 위한 지원활동
5. 나가는 글
제9장 사랑과 경제의 관계를 통해 본 이주결혼
1. 들어가는 글
2. 사랑과 친밀성의 정치경제학
3. 상업적으로 거래되는 사랑과 결혼
4. 이주결혼에서의 사랑과 경제
5. 나가는 글
제3부 여성 이주의 시대, 변화와 과제
제10장 국제결혼과 한국 가족의 부계적 성격
1. 들어가는 글: 한국 가족의 변화
2. 한국 농촌과 국제결혼
3. 필리핀 여성의 결혼이주와 젠더
4. 농촌의 필리핀 아내와 한국 남편 가족
5. 수도권의 한국 아내와 필리핀 남편 가족
6. 나가는 글: 한국 가족의 부계적 성격은 유지되는가?
제11장 이주, 그리고 일본의 도전받는 ‘가족’
1. 들어가는 글
2. 일본의 국제결혼 개관
3. 공인된 가족을 넘어: JFC와 그 어머니들의 운동
4. 나가는 글
제12장 경계 없는 가족?: 여성 이주와 초국적 가족
1. 들어가는 글
2. 여성 이주가 남겨진 가족들에게 미치는 영향
3. ‘전체’ 가족 재결합이 만병통치약인가?
4. 이주와 가족을 위한 정책과제
5. 나가는 글
제13장 한국 다문화 가족 관련 법제에 대한 고찰
1. 들어가는 글
2. 다문화가족의 현황
3. 다문화가족 관련 법제
4. 나가는 글
제14장 일본 개호보험제도하의 보살핌 ‘위기’와 교훈
1. 들어가는 글
2. 개호보험제도와 가족·젠더
3. 보살핌을 둘러싼 두 가지 ‘위기’
4. 도출된 새로운 정책과제
제15장 동아시아 고령자 개호 시스템의 전개와 과제
1. 들어가는 글
2. 복지국가론 속의 동아시아
3. 세 대상의 개호보장제도·시책의 전개와 특질 및 과제
4. 나가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