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대학교 인문총서' 언어와 문자로 불교경전이 어떻게 전해지고 있는지 그 대강의 현황을 살펴보는 개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기존 연구서에서 이와 같은 내용이 일부 제시되었던 것은 사실이나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였다. 그래서 최신 연구동향과 함께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을 통해서 불교경전의 역사에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각 분야의 전공자 7명이 10편의 글을 한 곳에 모았다.
목차
들어가는 글
고대 인도의 구전문화와 문자의 등장 / 심재관 1. 인더스 문자 그 이후 2. 베다의 구전문화 3. 초기의 두 문자 - 브라흐미 문자와 카로슈티 문자 4. 카로슈티 문자
최초 경전의 성립과 기록 / 이필원 1. 결집이란 무엇인가 2. 결집의 역사 3. 제1차 결집 4. 제2차 결집 5. 제3차 결집 6. 제4차 상좌부 결집 - 삼장의 기록 7. 카니쉬카 왕 치세기의 제4차 결집과 불교 사본
부파불교의 경전과 언어 / 이필원 1. 부파의 형성 2. 상좌부의 경전과 언어 그리고 문자 3. 설일체유부(거점 지역)의 경전과 언어 그리고 문자
남방불교 국가의 경전과 언어 / 박영길 1. 팔리 삼장의 언어와 문자 2. 팔리 삼장의 구성 3. 팔리 삼장의 판본 4. 남방불교 전통권의 언어와 문자 5. 스리랑카의 불교사와 문자 6. 태국의 불교사와 언어, 문자 7. 미얀마의 불교사와 언어, 문자 8. 캄보디아의 불교사와 언어, 문자 9. 라오스의 불교사와 언어, 문자
중앙아시아에서 발견된 사본과 불교사의 새로운 단서들 / 심재관 1. 박트리아어와 불교문헌 2. 간다리어와 카로슈티 문자 3. 코탄어와 툼슉어 불교문헌 4. 소그드어 불교문헌과 고대 위구르어
티베트 문자와 티베트어 불전 / 안성두 1. 티베트어와 티베트 문자 2. 불교의 도입과 불전의 번역 3. 티베트 범어 불전 번역의 특징과 그 평가
역경과 중국불교 / 권탄준 1. 불교의 전래와 최초의 역경 2. 불교에 대한 초기의 이해 - 안식·대월지·강거계의 초기 역경승 3. 격의불교의 비판 - 불교의 본뜻에 대한 탐구 4. 격의불교의 극복 - 구마라집의 구역 시대 5. 중국 역경의 황금시대 - 신역시대 6. 간추려 보는 역경의 역사
대승경론과 그 언어: 중관과 유식 문헌 / 김성철 1. 인도의 고문자 - 카로슈티 문자와 브라흐미 문자 2. 『근본중론송』과 『불호주』의 발견 3. 티베트의 불전 전승 4. 상크르티야야나의 탐험 5. 『프라산나파다』 의 산스크리트 사본 6. 새로운 사본 발견의 의의 7. 근대 탐험가들에 의한 산스크리트 문헌의 수집 8. 『해심밀경』 산스크리트 사본의 확인 9. 「성문지」와 「보살지」의 산스크리트 사본 10. 『대승장엄경론』과 『변중변론』의 발견 11. 무착 저작의 산스크리트 사본 12. 세친의 저작 13. 산스크리트 사본학의 미래
법화경 필사본 연구사와 그 언어와 문자 / 심재관 1. 법화경 사본의 지역적 분포 2. 불교연구의 시작, 뷔르눕의 법화경 번역과 케른-난조 편집본 3. 중앙아시아의 법화경 사본과 발견의 시대 4. 길기트 사본과 산스크리트 법화경 편집 5. 90년대 이후 새로운 법화경 사본의 발견 6. 법화경 사본의 언어와 문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