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서양 철학의 주제들인 형이상학, 마음, 지각, 논리·과학, 윤리, 정치·법 등의 범주로 유가사상의 문제들을 분류하고, 이와 관련된 논의들을 살펴본 논문집이다. 여기에 수록된 것은 그동안 저자가 주로 유가에서 철학 문제를 중심으로 썼던 논문들이다.
목차
들어가는 글
일러두기
제1부 형이상학
제1장 이약理弱 : 퇴계 이황
1. 일상 속에서의 강약
2. 주희의 이약기강理弱氣强
3. 이황에서 이약의 의미와 선의 발현문제
4, 약弱의 의미는 은미
제2장 리와 상제의 관계 : 퇴계 이황
1. 리는 능동적인가?
2. 주희의 리와 상제의 관계
3. 황의 리와 상제의 관계
4. 리와 상제는 능동적인 주재자
제3장 이무위李無爲의 주재 : 율곡 이이
1. 운동할 수 없는 리가 기를 존재할 수 있는가?
2. 이무위의 주재
3. 이무위의 주재에서 선악 문제
4. 사상적 의의
5. 현실적인 이기설
제4장 조형기성招形氣性의 성립 검토 : 한원진과 이간의 논쟁
1. 형기를 초월한 성이 가능한가?
2. 오상과 천명에서 초형성의 성립 검토
3. 성삼층설에서 초형기성의 성립 검토
4. 초형기성은 리만을 의미한다
제2부 마음
제1장 심성에 대한 시공간적 인석 : 한원진과 이간의 논쟁
1. 인간은 대상을 시공간적으로 인식한다
2. 심성에 대한 시공간적 인식
3. 심성에서 기각과 지智
4. 미발심성에서 중中과 부중不中
5. 이간은 주로 시간적, 한원진은 공간적으로 인식
제2장 마음의 몸에 대한 주재 : 간재 전우
1. 이기와 심성의 주재
2. 마음의 몸에 대한 주재 문제
3. 이이의 주재설에 대한 보완
제3장 인물성동이론 비판 : 한주 이진상
1. 인성과 물성에서 성 개념의 차이
2. 이진상의 인물성동이론 비판
3. 리에 대한 인식 차이
제3부 지각
제1장 지각설 논쟁 : 한주학파와 간재학파
1. 지각은 리인가 기인가
2. 주희의 지각설
3. 지각설 논쟁
4. 논쟁의 철학적 의의
5. 지각의 주체는 리 또는 기
제2장 감각적 지각과 덕성적 지각의 관계 : 하곡 정제두의 양지설
1. 양지에서의 지각
2. 양지에서의 감각지와 덕성지
3. 감각지와 덕성지의 윌원一原으로서 양지
4. 철학적 의의
5. 양지의 부분으로서 감각지와 덕성지
제4부 논리ㆍ과학
제1장 심성설에서 논리의 모순과 정합성 : 간재 전우의 성사심제와 심성일리의 관계
1. 심성관계는 상하인가 동등한가
2. 심성관계의 이론적 기초로서 이기관계 : 이존기비理尊氣卑와 이기무간理氣無間의 관계
3. 성사심제와 심성일리의 관계
4. 분설分設과 합설合設의 모순과 정합성
제2장 지형과 그 운동에 대한 이중적 이해 및 철학적 의의 : 주희
1. 천원지방天原地方천으로부터 탈피
2. 땅의 형태에 대한 이중적 이해 : 밥그릇과 만두 형태
3. 땅의 운동에 대한 이중적 이해 : 부동설과 지전설
4. 철학적의 의
5. 천자운동법칙에 근거한 윤리적 선
제5부 윤리
제1장 악의 발생에 관한 연구 : 성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1. 인간의 악
2. 악의 정의
3. 선천적인 악의 발생
4. 후천적인 악의 발생
5. 악의 상대성
제2장 인간과 다른 생물에 대한 윤리의 적용 문제 : 홍대용과 주희의 비교를 중심로
1. 인간 윤리를 다른 생물에게 적용할 수 있는가
2. 윤리의 이론적 근거 : 인간과 다른 생물의 존재로서 위상
3. 인간과 다른 생물에 대한 윤리의 적용 문제
4. 사상에 대한 재조명
5. 인간은 다른 생물에 비하여 우월한가 평등한가
제6부 정치ㆍ법
제1장 권력과 폭력 : 『맹자』의 군신君臣과 군민君民의 관계
1. 상대적인 권력과 폭력의 관계
2. 권력과 폭력의 의미
3. 권력의 근거로서 천과 민
4. 권력과 폭력
5. 『맹자』에서 군주를 교체하는 민의 권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제2장 아버지의 절도ㆍ살인에 대한 자식의 대응 : 『논어』와 『에우티프론』의 비교 및 그 현재적 조명
1. 범죄자 아버지를 자식이 고발해야 하는가 숨겨주어야 하는가
2. 절도ㆍ살인을 한 아버지
3. 양자의 비교
4. 현재적 조명: 형법과 국가보안법에 관련하여
5. 범죄자 부모를 숨겨주어도 형법에서 무죄이나 국가보안법에서 유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