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문학 콘서트 시리즈 두 번째 책. 이어령, 박이문, 김열규, 한돈희, 김정운, 하지현, 임헌우 등 다양한 분야의 원로·중견 학자와 전문가들이 인문학적 관점에서 한국인을 탐색한다. 세계가 놀라는 성공 신화를 이룩한 한국인의 힘은 어디서 오는지, 그 토양이 된 한국인의 정체성은 무엇인지, 그 정체성은 한국인의 삶에서 어떻게 발현하는지, 흥미로운 담론이 펼쳐진다.
목차
책 머리에 인문학의 눈으로 바라본 한국인의 정체성 / 손형기
제1부. 한국인, 어디로 가나
Only One, 한국인의 독창성 / 이어령
세상 모든 것이 인문학이다
인간을 둘러싼 세 가지 세계
Living vs Life
온리원(Only One) 창조자
새로운 인류 자본, 인문학
감동의 인문학
부정의 인문학
거북선과 아다케 후네
소통의 인문학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꿔라
온 세상이 교과서다
한국인이 놀다 / 김정운
놀아야 한다
한국인은 왜 놀 줄 모르는가
한국인에게 부족한 정서적 공감대
창조하고 싶다면 맥락을 바꿔라
생각의 지도
휴테크가 필요하다
쉬기와 놀기 사이
문화적 다양성이 존재하는 사회
한국인, 상상력을 디자인하라 / 임헌우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상상력이 생산성을 주도한다
브로드비치의 오프너
파이(π)형 인간
Stay Hungry, Stay Foolish
생각의 관성에서 벗어나라
생각의 가지를 쳐라
독창성은 어디서 오는가
감동하게 하라
발견과 발명 사이, 인류의 역사
패러다임의 변화를 읽어라
상상력의 기반, 열정 DNA
생각의 크기
진정으로 원하면 이루어진다?
상상력의 세 요소
인생은 저지르는 자의 것이다
한국인의 도시 심리학 / 하지현
일상에서 만나는 심리학
소통과 폐쇄 사이
술의 도시 심리학
광장의 집단 의식
유령 위장
인지부조화
원두커피와 커피믹스 사이
양극화하는 노인 계층
자살률 1위, 대한민국
성형 열풍 불다
자신의 페이스를 유지하라
내 욕망을 부끄러워하지 말자
한국의 과학교육을 위하여 / 박이문
과학문명에 대한 철학적 성찰
세계관으로 과학을 만나다
과학과 감성
과학, 어디로 가고 있는가
침묵의 봄
제2부. 한국인, 어디서 왔나
한국인의 조상 / 임돈희
어떤 민속학인가?
세계에서 평가받는 한국의 무형문화재
한국인 가문의 형성
전통사회 가족관계
한국인에게 조상은 어떤 존재인가?
조상제사에서 민속의 역할
한국식 입양과 재산분배
우리가 풀어야 할 단일민족 사회의 과제
한국인의 명절 / 이종철
한국인의 명절
한국인의 명절 놀이
한국인의 24절기
24절기와 풍속
한국인의 놀이
한국인의 귀신이야기 / 장윤선
왜 귀신인가?
귀신의 개념과 유교적 귀신관
있어야 할 귀신, 없어야 할 귀신
원혼, 소외된 자들의 이야기
귀신이야기의 비공식적 세계관
귀신, 현재와 과거의 접점
한국인의 신화적 상상력 / 오세정
신화란 무엇인가
한국인의 창세신화
건국신화, 무속신화
신화적 인물의 공간이동과 그 의미
신들의 변신
신화는 우리 자신의 이야기다
한국 미인 / 조용진
미인의 기준은 변한다
민족의 특징적 얼굴의 형성
미인의 평가에 작용하는 가치 개념
지역과 성에 따른 미인의 기준
진정한 미인
제3부 한국인, 누구인가
한국인의 죽음 / 김열규
죽음, 사랑, 문학
한국인은 세 번 죽는다
문화현상으로서의 곡(哭)
영혼은 어떤 존재인가
메멘토 모리
죽음은 삶의 주춧돌이다
죽음을 승화하라
한국인의 문기(文氣) / 최준식
문기와 신기
한국인은 왜 문화적 열등감을 느끼는가?
경이로운 인쇄문화
한국인의 기록 정신
최고의 문화유산, 한글
한글 창제의 배경
문기, 한국인의 잠재력
한국인의 한시 / 이종묵
한국인의 한시
설중매(雪中梅)
시중유화, 화중유시
임금, 시를 짓다
조선의 시인들
한국인의 음악혼 / 한명희
국악의 뿌리
우리 음악의 특징
단가(短歌), 판소리, 사물놀이
국악, 어떻게 즐길 것인가?
한국인의 춤 / 김삼진
한국춤
한국춤의 특징
한국춤의 명인들
한국춤의 미래
한국인의 집, 한옥 / 김봉렬
한국인의 집
한옥의 재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