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문화정책론 = Korea cultural policy : 21세기 최강대국의 가장 강력한 아이콘
발행연도 - 2010 / 박광무 지음 / 김영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44536
-
ISBN
9788934942030
-
형태
495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문화/문화사
>
한국문화
책소개
국내 최초로 문화정책의 역사를 시간 순으로 예리하게 분석하고 향후 미래 변동 예측과 그 방향까지 명확하게 진단하는 문화예술 가이드북. 수십 년간 문화체육관광부의 고위 정책담당자를 지낸 저자가 현장과 이론을 절묘하게 융합하여 엮어낸 책으로, 문화와 그 정책에 관련된 사람들 뿐 아니라 일상에서 항상 문화를 향유하고 누리는 일반인에게도 친절히 그 배경을 알려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한다.
목차
추천사
책을 내면서
1부 문화정책이란 무엇인가
1. 문화정책의 범위와 전개
문화정책의 범위
문화정책의 전개방법
2. 문화정책 연구의 태동
3. 문화정책의 개념과 문화정책변동
문화정책의 개념 설정
문화정책의 대상 영역
주요국의 문화정책 개관
한국 문화정책의 변동 개관
장기 계획의 한국 문화정책변동
2부 정책분석이론과 문화정책변동 분석모델
4. 역사적 제도주의와 경로의존성
행정현상의 접근방법과 신제도주의의 등장
신제도주의의 유형별 특징
제도 변화와 경로의존성
5. 정책변동론과 정책조정
정책변동의 유발 요인
정책변동모델
네트워크 거버넌스
경로의존성과 정책변동모델의 연계
6. 문화정책의 변동과 분석
문화정책변동의 분석모델
문화정책의 체계
분석방법
문화정책 논제
3부 시대별 문화정책 변동 I 정부 수립부터 문민정부까
7. 정부 수립 이후 제5공화국까지
문화정책변동의 외부 환경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문화정책의 주체
문화정책 기조의 형성과 변동
뮨화 핵심정책변동
8. 제6공화국
문화정책변동의 외부 환경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문화정책의 주체
문화정책 기조의 형성과 변동
문화 핵심정책변동
9. 문민정부
문화정책변동의 외부 환경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문화정책의 주체
문화정책 기조의 형성과 변동
문화 핵심정책변동
4부 시대별 문화정책 변동 II 국민의 정부부터 이명박정부까지
10. 국민의 정부
문화정책변동의 외부 환경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문화정책의 주체
문화정책 기조의 형성과 변동
문화 핵심정책변동
11. 참여정부
문화정책변동의 외부 환경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문화정책의 주체
문화정책 기조의 형성과 변동
문화 핵심정책변동
12. 2008년 이후
문화정책변동의 외부 환경
문화정책의 내재적 여건
문화정책의 주체
문화정책 기조의 형성과 변동
문화 핵심정책변동
13. 시대별 문화정책변동의 통시적 분석
분석모델에 따른 분석
‘문화핵심정책’의 분야별 변동요약
‘문화 핵심정책변동’에 관한 통시적 분석
5부 미래 한국 문화정책 예측
14. 정책 델파이
15. 한국 문화정책의 변동예측
문화예술 진흥
문화기반 확충
민족문화 창달
문화산업 육성
문화복지
세계화
지역문화(문화도시)
미래문화정책변동 예측 요약
16. 정책 변동 요인별 영향 예측
문화정책의 주체
내재적 여건
외부 환경
핵심정책변동의 요인들
정책 변인(變因) 간의 상호작용과 결과
맺음말
저자후기
부록
감사의 글
참고문헌
주
색인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1 |
40대 | 1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1 |
2018년 | 1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