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글 갯벌이여 영원하라
우리나라 갯벌
1장 무안 갯벌(전남 무안군)
갯벌을 선택한 사람들
숭어 없는 제사는 자식 없는 제사여
‘낙지 주낙’은 달사리가 최고여
갯살림 1 갯벌은 공동체다
2장 진도 갯벌(전남 진도군)
진도 큰애기 쌀 두 말 먹고 시집 가기 힘들다
“소뼈가 물러지지 진도 미역은 안 물러져”
섬사람들의 나눔과 배려, 갱번
갯살림 2 죽음의 굿이 이리도 아름다울 수 있을까?
3장 장봉도 갯벌(인천 옹진군)
우리나라 최대의 모래 갯벌
조개 중에 으뜸은 백합이라오
장봉도 갯벌의 생활사
갯살림 3 바다 사람들이 몸으로 읽는 시간, 물때
4장 순천만 갯벌(전남 순천시)
절제된 욕망 ‘순천만’
갈대, 순천만을 지키다
애들은 가라, 여름철 보양식 짱뚱어 요리
갯살림 4 ‘가래’ 들고 물고기 잡으러 간다
5장 벌교 갯벌(전남 보성군)
질퍽한 갯벌, 『태백산맥』을 낳다
꼬막과 널배
꼬막 맛이 변하면 죽을 날 가깝다
갯살림 5 갯벌을 모시다
6장 줄포만 갯벌(전북 부안군)
갯벌이 쌓이다, 삶이 쌓이다
그 많던 백합은 어디로 갔을까
남편 없이는 살아도 그레 없이 못 살아
갯살림 6 도깨비불이 나타났다 그물을 놓아라
7장 고창 갯벌(전북 고창군)
갯벌에 희망을 쓰다
바닷길을 기억하라 ‘풍천장어’
소금을 굽다
갯살림 7 갯벌에서 맛을 찾다
8장 서천 갯벌(충남 서천군)
개발 대신 보존, 공장 대신 생태 연구소
터를 잃은 철새 섬에 머물다
쌀밥 같은 알 밴 주꾸미가 그립다
갯살림 8 갯벌, 여성들의 소통 공간
9장 송도 갯벌(인천 연수구)
갯벌은 살아 있다
저어새, 도심 속에 알을 낳다
갯벌을 잊지 못하는 사람들
갯살림 9 항일 의병들은 왜 등대지기를 죽였나
10장 증도 갯벌(신안 증도면)
느리게 살다
바다와 갯벌이 준 최고의 선물, 함초
바닷물 백 바가지, 소금 한 줌 ‘태평염전’
갯살림 10 최 씨 부자의 염전살이
11장 남해 갯벌(경남 남해면)
자연에 순응하며 살다
아가씨들이 세 번 놀라는 지족 해협 개불
퇴직금을 바다에 부어 만든 죽방렴
갯살림 11 영혼의 나무, 고기를 부른다
12장 시흥 갯벌(경기도 시흥시)
구불구불 갯골을 따라
갯골, 생명을 품다
개발에 밀려 신음하는 경기만 염전
갯살림 12 갯벌에는 차별이 없다
13장 봉암 갯벌(경남 마산시)
공단 사이에 갯벌이 숨쉰다
‘게판’이 된 봉암 갯벌
꼬시래기가 돌아왔다
갯살림 13 갯벌을 막다
14장 제주 해안(제주특별자치구)
자연과 인간의 조화
자리돔은 자리를 지킨다
살아 있는 여신 ‘잠녀’
갯살림 14 제주 갯사람의 삶의 지혜, 원
15장 백수 갯벌(전남 영광군)
사흘 벌어 일 년 먹고 살았다
조기와 그 사촌들
짭짤한 젓갈이 그립다
갯살림 15 죽어서도 파도소리와 갯내음을 맡고 싶다
16장 강화 갯벌(인천시 강화군)
역사가 깃든 갯벌
저어새와 백로의 행복한 동행
준치보다 나은 고기, 밴댕이
갯살림 16 아름다운 갯벌 여행
17장 다도해 섬 갯벌(전남 신안군)
육상과 해양의 습지 생태 모자이크 ‘섬 갯벌’
자연과 더불어 사는 지혜, ‘우실’
섬 갯벌에는 낙지가 산다
갯살림 14 갯벌과 젓갈
부록
갯벌에서 만나는 새들
갯벌에서 만나는 식물들
갯벌에서 만나는 여러 가지 동물들
갯벌에서 만나는 갯살림 어구들
1. 갯벌 체험, 이것만은 지키자!
2. 어촌 체험 마을 연락처
3. 갯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