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현대미술사에서 한국적인 정서를 빼어나게 형상화한 화가로, 1980년대 민중미술의 상징으로 일컬어지는 판화가 오윤 전집. 오윤의 삶과 예술을 재발견하고 있는 이번 전집을 통해 사람과 생명을 소중히 여겼던 친근한 이웃으로, 삶의 서정과 세계의 본질을 주술적인 붓과 칼로 형상화한 화가 오윤을 만날 수 있다.
목차
간행사 아직 해야 할 일이 많은 작가, 오윤을 위하여
서문 《오윤 전집1: 세상 사람, 동네 사람》에 부쳐
1 오윤의 삶과 사람들
오윤, 민중미술을 이루어내다 / 조인수
생명의 힘과 맥을 형상으로 떠낸 선구자 / 이석우
'작가 오윤'에 대한 추억(좌담) / 주재환, 손장섭, 박현수, 김용태, 김정헌
오윤을 생각하면 / 김지하
중력적 초월이라는 생명과 그마저 벗어난 큰 평화 - 오윤과 나 / 김지하
오윤, 한국 화단의 신동엽 / 김윤수
한 장의 그림에 담긴 수많은 이야기들 / 원동석
술을 너무 징허게 먹었다 / 김정헌
오윤, 목판화가 혹은 벽동공장 / 손수호
고향 친구, 오윤(좌담) / 이흥재, 김익구, 채희완
흙이 마알가니 지 생명이 딱 있다.(좌담) / 윤광주, 김익구, 채희완
가오리에서 책 표지를 시작하다 / 한윤수
가오리에서 만난 오윤 / 김대식
가오리 사람들 / 김대식
설명하지 않는 화면 / 유홍준
인간적인 그림 / 이철수
덧보기가락으로 추는 탱고 / 채희완
도깨비 같은 사람 / 이애주
어느 유신론자의 미술수업 / 허진무
2 오윤의 예술세계
오윤의 붓과 칼 / 성완경
나의 춤은 꿈을 꾸는 동안 계속되었다 - 오윤과 민중미술 / 성완경
오윤 작품의 현재적 의의(대담) / 김지하, 심광현
굵고 깊은 윤곽선과 두루마리 가로의 수수께끼 / 김지하
오윤 그림의 민중정서와 힘 / 원동석
오윤 예술에 대한 미술사적 회상 / 유홍준
오윤을 다시 보자 / 최석태
오윤과 목판화운동 / 이철수
오윤, 요절한 80년대 미술운동의 보배 / 윤범모
시대를 빛낸 문화 예술가, 이응노와 오윤 / 최열
전통의 창조적 계승자들, 미술관에 모이다 - 추사 김정희와 개도치 오윤 / 최열
낮도깨비 신명 마당에 합세한 물귀신과 가분다리 탈들 / 채희완
춤추는 호랑이와 함께, 도깨비 나라로 / 라원식
오윤, 〈강쟁이 다리쟁이〉 / 김동화
오윤, 〈칼노래〉 / 강성원
오윤 인물 형상의 전형성과 비전형성 분석 - 1984년 오윤의 글을 중심으로 / 이성민
오윤의 민중의식과 민중미학 / 김종길
3 오윤의 글, 오윤의 말
미술적 상상력과 세계의 확대 / 오윤
아무것도 없는 빈 그릇 / 오윤
미술의 언어 / 오윤
행복의 모습 / 오윤
오늘의 우리에게 굿은 무엇인가 - 삶의 본질, 상상력의 원천으로서의 굿(좌담) / 오윤, 이애주, 채희완, 최태현, 하종오
동인 선언문
현실 동인 제1선언
현실과 발언 창립 취지문
기획전 초대글
오윤 판화전을 열면서(그림마당 민 개인전, 1986년) / 민혜숙
오윤의 판화 작업을 끝내고(10주기 회고전, 학고재, 1996년) / 홍선웅
'오윤: 낮도깨비 신명 마당' 전을 기획하며 (20주기 회고전, 국립현대미술관, 2006년) / 강수정
오윤 관련 문헌 목록
연보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