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원제는 <역사적 기본개념, 독일 정치.사회 언어 역사사전>.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은 총 119개의 기본개념 집필에 역사학자뿐 아니라 법학자, 경제학자, 철학자, 신학자 등이 대거 참여한 학제 간 연구의 결실이다. 또한 1972년에 첫 권이 발간된 후 1997년 최종 여덟 권으로 완성되기까지 무려 25년이 걸린 대작이다.
목차
번역서를 내면서
Ⅰ. 서론
Ⅱ. 그리스: 문화 개념이 없는 문화
Ⅲ. 로마: 문화 개념의 기초들
1. 세 단어: 'colere', 'cultus', 'cultura'
2. '문명Zivilisation'
IV. 중세
1. 문화 개념의 제한
a ─ 라틴어
b ─ 여러 민족어들
c ─ 개념 내부에서의 구별
2. 문명 개념의 전前단계들
V. 16세기와 17세기에 볼 수 있는 현대적 문화 개념의 토대들
1. 문명 개념의 전前단계들 : 분화와 부분적 탈정치화
2. 'cultura animi'에서 'cultura'로
Ⅶ. 18세기와 19세기 초: 현대적 문화 및 문명 개념의 생성
1. '문화'
a ─ 프랑스: 개념 발전의 중단
b ─ 독일: 역사철학적 운동 개념으로의 확장
α ─ 이어빙
β ─ 헤르더
γ ─ 18세기 말엽과 19세기 초엽: 보편 개념으로의 확대
δ ─ 간명화 및 한정화 시도
2. '문명'
a ─ 프랑스
b ─ 영국과 미국
c ─ 독일
d ─ 이탈리아
3. '문화'와 '문명'을 구별하려는 시도들
a ─ 칸트
b ─ 홈볼트
c ─ 볼프
d ─ 페스탈로치
Ⅶ. 일반사전과 언어사전에서의 '문화'와 '문명'
1. '문화'
a ─ 프랑스어
b ─ 영어
c ─ 독일어
2. '문명'
a ─ 프랑스어
b ─ 영어
c ─ 독일어
Ⅷ. 19세기: 한 시대의 자의식의 표현으로서의 두 개념
1. 독일어에서의 '문화'와 '문명'
2. 프랑스어에서의 '문명'과 '문화'
3. 영어에서의 '문명'과 '문화
4. 이탈리아어에서의 'civilta', 'cultura', 'civilzzazione'
IX. 양차 세계대전의 시기: 서구의 몰락
1. 독일어권
2. 프랑스어권
3. 영어권
4. 이탈리아
X. 전망: 1945년 이래의 문화의 호황
옮긴이의 글
읽어두기: 주석에 사용된 독어 약어 설명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