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콘이란 ‘특정한 아이디어와 양식 등의 상징으로서, 사람들이 보고 열광하는 특정 제품이나 사람’을 일컫는다. 하루키만의 보편적인 감성이나 키티의 귀여운 이미지, 나아가 MUJI의 실용적인 심플함과 라이프스타일은 이 시대를 대표하는 ‘하나의 아이콘이자 문화양식’이다. 문화 콘텐츠 부문에서 한국보다 앞서 달려가는 일본의 대표적인 문화 아이콘(하루키, 키티, MUJI)을 분석한 책으로 한국의 차세대 문화 아이콘을 준비하는 이에게 좋은 텍스트가 될 것이다.
목차
글을 시작하며_ 전 세계를 열광시키는 일본의 문화 아이콘
1장_ ‘보편적인 동질감을 느낀다’ _ 무라카미 하루키 무라카미 하루키 주요 연표 하루키 신드롬의 정체 독자적인 집필 활동과 그 특권 Break Time_ 일본 소설 열풍의 시작과 현재 자유라는 이름의 독특한 생활 방식 다양한 논쟁과 엇갈리는 평가 Break Time_ 하루키의 노벨문학상 수상 가능성은? 변화를 통해 만들어낸 제2의 문학 인생 하루키 소설의 인기 비결과 재미 〈1Q84〉의 도전과 과제 하루키의 주요 작품 소개 Break Time_ 하루키의 매력을 더욱 진하게 느낄 수 있는 장場
2장_ ‘아기자기한 재미와 감성을 즐긴다’ _ 헬로 키티 헬로 키티 주요 연표 키티, 신비스러움이 넘치는 캐릭터 키티의 탄생과 그 배경 왜 키티인가 1 _ 동양과 서양이 결합된 보편성 왜 키티인가 2 _ ‘귀여움의 본산’ 일본이라는 환경 왜 키티인가 3 _ 셀러브리티 마케팅과 소셜 커뮤니케이션 왜 키티인가 4 _ 신비감과 동류의식이 주는 매력 왜 키티인가 5 _ 미니멀리즘과 역대 디자이너들의 활약 산리오와 츠지 신타로의 역사 1 _ 뛰어난 비즈니스 감각으로 일군 캐릭터 사업 산리오와 츠지 신타로의 역사 2 _ 사명 변경과 반복되는 시행착오 그리고 도전 키티의 적극적인 해외 진출 손상되는 키티와 그 행방 Break Time_ 퍼포먼스 아트 속에 비친 키티
3장_ ‘실용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제안한다’ _ 무인양품 MUJI 주요 연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며 탄생한 MUJI 이유 있는 저렴함과 독립 회사로의 출발 양품계획의 독립과 기우치의 개혁 MUJI의 발전과 변화하는 대형점 구조 Break Time_ 국내의 실적 악화로 초래된 해외 진출 실패 확대 전략이 초래한 ‘MUJI다움’의 상실 MUJI의 실적 부진 이유 불량재고 처리와 해외 출점 전략의 재고 짧아진 제품 사이클과 의류잡화 개혁 Break Time_ 요지 야마모토와의 협업이 낳은 변화의 씨앗 WORLD MUJI와 Observation 그리고 인터넷 기존의 틀을 깨는 새로운 출점 전략 유럽과 아시아에 적극 진출하는 새로운 해외 전략 한국과 중국 그리고 미국 진출과 새로운 방향성 Break Time_ MUJI의 새로운 타깃 전략 판매중점 전략과 ‘블록점장 제도’의 시행 Break Time_ 직영점 체제의 강화와 패밀리마트와의 제휴 적극적인 광고 선전과 M&A를 통한 신성장동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