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 현, 노장의 커뮤니케이션
  • 현, 노장의 커뮤니케이션

    발행연도 - 2010 / 지은이: 김정탁 / 커뮤니케이션북스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37377
    • ISBN 9788964060834
    • 형태 xii, 363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도가철학/노장철학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노장사상으로 이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한다. 핵심 개념인 도를 구체적으로 언급해 노장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감관과 감관의 연장인 언어, 그것들의 의미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현의 원리에 입각해 노장의 커뮤니케이션관을 포괄적으로 제시한다. 서구의 기능적 패러다임이 놓치고 있던 커뮤니케이션을 노장에게서 접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Ⅰ. 도道의 원리와 작용 우주·자연·인간세 원리로서의 도 i 도의 존재론적 차원: 무질서하지만 생명 있는 존재 ii 도의 인식론적 차원: 불가지不可知한 존재 iii 도의 도덕철학적 차원: 무위자연無爲自然한 존재 인간의 완성을 향한 도의 작용 iv 제물齊物-이물관지以物貫之에서 이도관지以道貫之로 v 심재心齋-인뢰人籟에서 지뢰地籟로, 다시 천뢰天籟로 Ⅱ. 의사소통 수단과 의미 작용 소통 수단으로서의 감관, 의미 작용으로서의 심관 vi 오색이 우리의 눈을 멀게 한다 vii 감관感官을 닫고 심관心官을 막아라 viii 수해手解와 목해目解에서 도해道解로 감관의 연장으로서의 언어 ix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잊어라 x 반편의 지식인은 배운 바에 고착되어 있다 xi 조삼모사朝三暮四 우화-인시因是와 양행兩行 Ⅲ. 현玄에 입각한 의사소통 의사소통을 통한 삶의 해방 xii 우언寓言·중언重言·치언巵言의 은유법 xiii 대대對待 관계의 해체를 위하여 부록 주체와 객체의 융합 조건에 관한 연구: 자크 데리다와 유불선 사상과의 접합을 통해서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통합 사회를 잡아라  : 통합적 관점으로 인간과 사회를 탐구하다. 2, 회 정의와 미래를 위한 숙제 통합 사회를 잡아라 : 통합적 관점으로 인간과 사회를 탐구하다. 2, 회 정의와 미래를 위한 숙제 2018 / 지은이: 조지욱 ; 조승연 ; 정명섭 ; 이효건 ; 송훈섭 ; 김승우 ; 강혜원 ; 강은경 ; 강봉균 ; 그린이: 김혜령 / 사계절
(십대를 위한) 세계화 이야기  : 아빠와 함께 찾아가는 세계화 바로알기 (십대를 위한) 세계화 이야기 : 아빠와 함께 찾아가는 세계화 바로알기 2011 / 앙드레 푸르상 글 ; 유정희 옮김 / 김영사
(십대를 위한) 세계화 이야기  : 아빠와 함께 찾아가는 세계화 바로알기 (십대를 위한) 세계화 이야기 : 아빠와 함께 찾아가는 세계화 바로알기 2011 / 앙드레 푸르상 글 ; 유정희 옮김 / 김영사
혼종성 이후  = After hybridity 혼종성 이후 = After hybridity 2017 / 지은이: 박주식, 장형철, 태혜숙, 윤지영, 위경혜, 이진형, 이영배, 전혜숙, 선영아, 박규택 / 앨피
혼종성 이후  = After hybridity 혼종성 이후 = After hybridity 2017 / 지은이: 박주식, 장형철, 태혜숙, 윤지영, 위경혜, 이진형, 이영배, 전혜숙, 선영아, 박규택 / 앨피
사회과학연구의 논리 : 정치학, 행정학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의 논리 : 정치학, 행정학을 중심으로 2002 / 강신택 저 / 박영사
세상읽기와 세상만들기 : 사회과학의 이해 세상읽기와 세상만들기 : 사회과학의 이해 2008 / 김광억 편 / 서울대학교출판부
현, 노장의 커뮤니케이션 현, 노장의 커뮤니케이션 2010 / 지은이: 김정탁 / 커뮤니케이션북스
담론과 성찰. 1 담론과 성찰. 1 2009 / 지음:도정일 ; 도종환 ; 한정숙 ; 김민웅 ; 유초하 ; 주명철 ; 홍원표 ; 이정우 ; 문광훈 ; 이광주 ; 박태순 ; 최영준 / 한길사
담론과성찰 : 국가의 품격  : 우리는 품격 있는 국가에서 살고 싶다. 2 담론과성찰 : 국가의 품격 : 우리는 품격 있는 국가에서 살고 싶다. 2 2010 / 김우창, 이광주, 송재소, 김찬호, 박상익, 곽노현, 백종국, 전재성, 조홍식, 조광호, 김언호, 김민웅 / 한길사
경제인의 종말 : 피터 드러커라는 이름을 세상에 알린, 그의 첫번째 역작 경제인의 종말 : 피터 드러커라는 이름을 세상에 알린, 그의 첫번째 역작 2008 / 피터 드러커 지음 ; 이재규 옮김 / 한국경제신문
경제인의 종말 : 피터 드러커라는 이름을 세상에 알린, 그의 첫번째 역작 경제인의 종말 : 피터 드러커라는 이름을 세상에 알린, 그의 첫번째 역작 2008 / 피터 드러커 지음 ; 이재규 옮김 / 한국경제신문
스펙타클의 사회에 대한 논평 스펙타클의 사회에 대한 논평 2017 / 기 드보르 지음 ; 유재홍 옮김 / 울력
누스페어 누스페어 2003 / 피에르 레비 저 ; 김동윤 ; 손주경 ; 조준형 공역 / 생각의나무
하버마스 : 철학과 사회이론 하버마스 : 철학과 사회이론 1998 / 발터 레제-쉐퍼 지음 ; 선우현 옮김 / 거름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괴물과 함께 살기 :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루만까지 한 권으로 읽는 사회철학 괴물과 함께 살기 :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루만까지 한 권으로 읽는 사회철학 2015 / 정성훈 지음 / 미지북스
투명사회 투명사회 2019 / 지음: 한병철 ; 옮김: 김태환 / 문학과지성사
사회 지식 프라임 : 청소년을 위한 통합사회 사회 지식 프라임 : 청소년을 위한 통합사회 2018 / 지은이: 강준만 / 인물과사상사
통합 사회를 잡아라. 1, 행복한 삶과 바람직한 사회 통합 사회를 잡아라. 1, 행복한 삶과 바람직한 사회 2018 / 지은이: 조지욱 ; 조승연 ; 정명섭 ; 이효건 ; 송훈섭 ; 김승우 ; 강혜원 ; 강은경 ; 강봉균 ; 그린이: 김혜령 / 사계절출판사
통합 사회를 잡아라. 2, 사회 정의와 미래를 위한 숙제 통합 사회를 잡아라. 2, 사회 정의와 미래를 위한 숙제 2018 / 지은이: 조지욱 ; 조승연 ; 정명섭 ; 이효건 ; 송훈섭 ; 김승우 ; 강혜원 ; 강은경 ; 강봉균 ; 그린이: 김혜령 / 사계절출판사
혐오의 시대, 철학의 응답: 모욕당한 자들의 반격을 위한 언어를 찾아서 혐오의 시대, 철학의 응답: 모욕당한 자들의 반격을 위한 언어를 찾아서 2019 / 지음: 유민석 / 서해문집
(생각하는 십대를 위한)토론 콘서트 : 사회 (생각하는 십대를 위한)토론 콘서트 : 사회 2014 / 윤용아 지음 ; 문지후 그림 / 꿈결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57, 시리아 전쟁 : 21세기 지구촌의 최대 유혈분쟁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57, 시리아 전쟁 : 21세기 지구촌의 최대 유혈분쟁 2018 / 지음: 김재명 / 내인생의책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3, 환율 : 오르면 개인에게 이로울까?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3, 환율 : 오르면 개인에게 이로울까? 2019 / 지음: 위문숙 / 내인생의책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5, 병역 : 징병제냐, 모병제냐?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5, 병역 : 징병제냐, 모병제냐? 2019 / 지음: 김재명 / 내인생의책
믿음에 대하여 믿음에 대하여 2003 / 슬라보이 지젝 저 ; 최생열 역 / 동문선
푸코 & 하버마스 : 광기의 시대, 소통의 이성 푸코 & 하버마스 : 광기의 시대, 소통의 이성 2009 / 하상복 지음 / 김영사
근대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근대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2009 / 하영선 외 지음 / 창비
권력이란 무엇인가 권력이란 무엇인가 2009 / 이수영 지음 / 그린비출판사
철수야 놀자  : ‘어떻게 보느냐’가 ‘어떻게 사느냐’를 결정한다 철수야 놀자 : ‘어떻게 보느냐’가 ‘어떻게 사느냐’를 결정한다 2015 / 서정오 지음 / 고인돌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