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 사회의 장애관(觀)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새로운 장애 담론의 형성을 시도하는 그린비 장애학 컬렉션의 첫번째 권. 케냐, 소말리아, 우간다, 보츠와나, 터키 등 다양한 지역에서 '장애'라는 개념이 어떻게 규정되고(혹은 규정되지 않고) 인식되는지를 탐구하는 장애의 문화인류학 보고서이다.
목차
책머리에
서장 장애와 문화 / 수잔 레이놀스 휘테ㆍ베네딕테 잉스타
장애에 대한 보편적 정의?
유럽-미국적인 장애
차이와 인격
사회조직과 장애
사회적 처지와 장애
장애 해석 과정들의 분석
역사적 변환들
1부 장애, 우주론, 인격
1장 인격체와 비인격체 : 보르네오 중부 푸난바족 사이에서의 장애와 인격 / 이다 니콜라이센
푸난바족, 그들의 사회와 문화
몸의 이미지들과 장애
공간성과 가시성
인격과 장애
결론
2장 아이는 아이일 뿐이다 : 케냐 마사이족 사이에서의 장애와 평등 / 에우드 탈레
목축민 마사이족
누가 장애인인가?
질병과 장애에 관한 신념
파멜레우: 저주의 사례
장애인의 치료와 장애인에 대한 태도
차이들 내에서의 정상성
3장 불치병으로서의 장애 : 소말리아 남부에서의 건강, 건강추구의 과정, 인격 / 베른하르드 헬란데르
장애인들
건강추구의 과정
의사소통과 평가하기
질환 -꼬리표들
자비 또는 재활?
결론
4장 왜 장애인이 되었나? : 한 아프리카 사회에서의 신체적 장애에 대한 문화적 이해 / 트리크 데블리허르
신체적 장애와 사회적 지위
송게족 사회에서의 장애에 대한 대처
문화에 의해 형성되는 장애 이슈들
물리적 환경
마법
조상들
신부대
신
결론
5장 병든다는 것 그리고 나를 찾는 것 : 다발성경화증 내러티브 속에서의 자아, 몸, 시간 / 주디스 멍크스ㆍ로널드 프랑켄버그
연구의 배경
초기
중기
말기
장애인의 삶에 대한 전범으로서의 라이프스토리와 질환 내러티브들
결론
2부 장애의 사회적 맥락
6장 사회적 만남들 : 미국 사회의 침묵하는 몸 / 로버트 머피
7장 눈이 보이는 애인과 맹인 남편 : 우간다에서 맹인 여성들의 경험 / 나인다 센툼브웨
문제의 정의
맹에 대한 인식
맹인의 취약성
지속되는 병자 역할
우간다
여성의 가사 역할
성교 및 부부관계
맹인 여성들의 성교 및 결혼 기회
섹슈얼리티와 가정생활에서의 사회관계들
유능한 우간다 여성의 예로서의 맹인 여성들
눈이 보이는 남성들과의 성적 관계가 갖는 사회적 함의들
결론
8장 재활에 대한 공적 담론들 : 노르웨이에서 보츠와나로 / 베네딕테 잉스타
노르웨이
보츠와나
재활담론들의 이전
9장 영웅, 거지, 또는 스포츠 스타 : 니카라과에서 장애인 정체성의 협상 / 프랑크 잘레 브룬
배경
혁명적 보건의료
산악지대로부터의 귀향
거지와 영웅에 대한 신문 기사들
장애 관련 단체들과 장애인 스포츠 스타들
영웅과 순교자들
결론
10장 장애와 이주 : 하나의 사례 이야기 / 리스베트 사크스
몇 가지 개념들
배경
서구 생의학과의 맞닥뜨림
되네의 이야기
되네의 아들에 대한 터키인 이주자 마을 여성들의 견해
되네의 아들에 대한 스웨덴 의사들의 견해
결론
11장 간질의 문화적 구성 : 동아프리카에서의 이미지와 맥락들 / 수잔 레이놀스 휘테
하나의 문화적 범주로서의 간질
벌레와 오염에 대하여
원인과 치료법들
간질의 사회적 맥락
우리의 개념과 그들의 경험
12장 음포 야 모디모 - 신으로부터의 선물 : 장애인을 향한 ‘태도’에 대한 조망 / 베네딕테 잉스타
신화의 형성
장애아동의 어머니라는 처지에 있는 인류학자
보츠와나
태도라는 개념
결론
종장 담론과 경험 사이에서의 장애 / 수잔 레이놀스 휘테
장애의 서구적 구성
종족 -기형학: 이례적인 것에 대한 담론
불운으로서의 차이: 원인에 대한 담론
엘리펀트맨의 교훈
경험과 표상
현지조사, 담론, 경험
옮긴이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