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서장. ‘살아가는 힘’과 ‘살아남기’ / 한용진[고려대학교]
1. 재난과 국가 역할
2. ‘살아가는 힘’과 ‘살아남기’
3. 학교 안전교육에 관하여
4. ‘살아가는 힘’을 길러주는 교육
5. 맺음말
제1장 안전·안심 교육과 법규범 체제-아동의 안전·안심 보장을 위한 법적 보완- / 공병호[오산대학교]
1. 안전·안심과 법규범
2. 일본 학교에서의 학생 안전 대응 노력
3. 학교안전의 대상 영역
4. 학교에서 안전관리의 목적과 방법
5. 학교보건안전법이 요구하는 내용
6. 학교보건안전법 발효 이후의 후속 조치
7. 최근의 법적 체제 정비
8. 시사점
제2장 이지메와 학교 안전·안심 교육 / 남경희[서울교육대학교]
1. 이지메의 사회문제화
2. 이지메의 발생 실태와 양태
3. 이지메의 정의 및 시기별 인식
4. 이지메와 학교 안전·안심 방안
5. 이지메와 학교 안전·안심 교육 방향
제3장 방재지도를 활용한 방재교육 / 이정희[광주교육대학교]
1. 방재지도의 기능 및 교육적 활용
2. 방재지도를 활용한 방재교육 사례
3. 지역의 방재지도를 활용한 방재교육의 특징과 한계
제4장 지역 연계를 통한 체험형 안전교육 / 오민석[고려대학교]
1. 지역사회 내 안전교육의 필요성
2. 지역공동체 해체 속의 안전교육
3. 오마치초등학교의 안전교육 활동
4. 아동안전교육에 대한 시사점
제5장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안전교육-히마와리유치원 위기관리 매뉴얼을 중심으로- / 최순자[국제아동발달교육연구원]
1. 일본 유치원에서의 안전관리 근거와 지휘권
2. 위기상황 예방과 대응
3. 결론 및 시사점
제6장 초등 교과서에 나타난 지진재해 관련 서술의 변천 / 한현정[부산대학교]
1. 일본의 방재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 왔나
2. 재해교육의 이론적 배경
3. 관동대지진의 서술
4. 지진재해의 전달형식
5. 교과서로 본 방재교육의 변화와 예방가능성
제7장 방과 후 어린이 교실과 안전·안심 교육 / 송민영[경기도평화교육연수원]
1. 방과 후 어린이 교실
2. 방과 후 어린이 종합 계획
3. 방과 후 어린이 교실과 어린이의 안전(방범) 대책
4. 시사점
제8장 학교체육활동 중 안전교육 / 미즈노 지즈루[水野千鶴, 장안대학교]
1. 들어가면서
2. 학교체육활동 중 사고현상
3. 체육활동의 안전한 실시
4. 안전을 고려한 체육활동 사례
5. 향후의 과제
제9장 학교안전과 ESD 시점에서의 방재학습 / 남경희[서울교육대학교]
1. 학교 안전교육의 중요성 인식
2. 지속가능발전교육과 방재교육의 진전
3. 학교안전 및 방재교육 추진
4. ESD 시점과 학습지도
5. 안전의식 제고와 안전문화 구축 방향
제10장 진로 및 교양 교육 관점에서 본 대학방재교육 / 신현정[중부대학교]
1. 대학방재교육 연구의 필요성
2. 방재 및 방재교육의 전개
3. 방재를 위한 대학의 노력
4. 결론 및 시사점
제11장 재해문화와 안전교육: 한국에 주는 교훈과 대학의 역할 / 김영근[고려대학교]
1. 서론: 재난사를 통해 얻은 교훈을 누구에게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2. 일본 3·11 후쿠시마의 교훈
3. 한국의 재해문화와 안전교육에 관한 대학의 역할
4. 결론: 글로벌 시대의 재난과 안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하여
제12장 ‘1억인 총활약’ 대책과 학교 안전교육망의 현황 및 과제 / 윤종혁[한국교육개발원]
1. ‘1억인 총활약’과 학교 안전교육망
2. 일본의 학교 안전교육 변화 실태와 현황
3. 1억인 총활약 대책을 위한 학교 안전교육의 성과
4. 1억인 총활약 대책을 통한 ‘지역 부흥교육’ 사례
5. 학교 안전교육망 구축의 향후 과제와 전망
별장. 한국의 학교 안전교육 현황과 과제 / 이지혜[서울염리초등학교]
1. 안전에 관한 권리와 안전교육
2. 한국의 학교 안전교육 현황
3. 학교 안전교육의 방향
<부록> 한국의 학교 안전교육 내용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