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편 인사행정의 기초
제1장 인사행정의 의의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
제2절 인사행정의 세 측면
제3절 인사행정과 인사관리
제4절 인사행정의 중요성
제5절 인사행정의 기능
제2편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초
제2장 임용제도
제1절 엽관제도
제2절 한국의 정치적 임명제도
제3절 인사청문회제도
제4절 실적제도
제5절 대표관료제
제3장 직업공무원제도
제1절 의의
제2절 특징
제3절 직업공무원제도의 수립요건
제4절 직업공무원제도와 실적제도
제5절 직업공무원제도에 대한 평가
제6절 고위공무원단제도
제7절 개방형 직위제도
제8절 공모 직위 제도
제4장 인사기관
제1절 인사기관의 종류
제2절 중앙인사기관
제3절 부처인사기관
제4절 지방자치단체 인사기관
제3편 공직의 분류체계
제5장 공직의 분류
제1절 계급제
제2절 직위분류제
제3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비교
제4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선택기준
제5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조화
제6장 직무분석과 직무평가 - 직위분류제의 수립절차
제1절 준비 작업
제2절 직무조사
제3절 직무분석
제4절 직무평가
제5절 직급명세서의 작성
제6절 정급
제7절 유지 및 관리
제7장 한국 공무원의 분류
제1절 임용권
제2절 직무
제3절 근무시간
제4절 임용형태
제4편 인적자원의 관리
제8장 인력관리계획
제1절 의의
제2절 필요성
제3절 인력관리계획 모델
제9장 외부임용
제1절 의의
제2절 신규채용의 유형
제3절 모집
제4절 선발
제10장 내부임용
제1절 승진
제2절 강등
제3절 강임
제4절 승급
제5절 전직과 전보
제6절 인사교류
제7절 파견
제8절 겸임
제11장 경력개발
제1절 경력개발의 의의
제2절 경력개발의 목적
제3절 경력개발의 원칙
제4절 경력계획의 정의와 과정
제5절 경력경로의 유형
제6절 전문분야 및 전문직위 별 보직관리
제7절 경력개발의 문제점과 성공조건
제12장 교육훈련
제1절 교육훈련의 의의
제2절 교육훈련의 수요조사
제3절 교육훈련의 종류와 방법
제4절 교육훈련 담당기관 및 교수요원 결정
제5절 교육훈련에 대한 저항과 해결
제6절 교육훈련의 평가 및 활용
제7절 한국 공무원 교육훈련의 개선방안
제13장 역량평가
제1절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역량평가
제2절 과장급 후보자 역량평가
제14장 성과관리제도
제1절 근무성적평정
제2절 근무성적평정의 요건
제3절 근무성적평정의 유형
제4절 근무성적평정제도의 운영
제5절 근무성적평정의 오류
제6절 근무성적평정의 한계
제7절 한국의 성과관리제도
제15장 보수
제1절 보수의 의의
제2절 보수의 특성
제3절 보수의 중요성
제4절 보수관리의 기준
제5절 공무원 보수의 결정요인
제6절 생계비조사와 임금조사
제7절 보수표의 작성
제16장 동기부여
제1절 동기부여의 의의와 중요성
제2절 동기부여 이론
제3절 사기저해 요인
제4절 동기부여 방안
제5편 공무원의 행동규범
제17장 정치적 중립
제1절 정치적 중립의 의의
제2절 정치적 중립의 필요성
제3절 정치적 중립의 확보 방안
제4절 정치적 중립에 대한 비판
제5절 각국의 정치적 중립 실태
제6절 정치적 중립의 확보 요건
제18장 공무원노동조합
제1절 공무원노동조합의 의의
제2절 공무원노동조합의 필요성
제3절 공무원노동조합의 한계
제4절 노동3권의 범위
제5절 주요국가의 공무원 노동기본권
제19장 신분보장과 징계
제1절 신분보장
제2절 징계
제3절 소청심사제도
제4절 고충심사 청구
제20장 공직윤리
제1절 공직윤리의 개념
제2절 공직윤리의 중요성
제3절 공직윤리의 확보제도
제4절 공직윤리의 확보방안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