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의 말_ 다큐멘터리 감독은 누구인가?
프롤로그_ 닫힌 셔터를 열며
Ⅰ강 영화의 시작, 다큐멘터리의 시작
■ 사람의 눈이 되는 카메라
■ 카메라의 발명, 영화의 시작
■ 세상을 바라보는 눈 카메라 : 전쟁 속의 꼬마였던 영화
■ 다큐멘터리와 극영화는 뭐가 다를까?
■ 다큐멘터리(documentary)라는 단어의 탄생
Action_ 존 그리어슨의 다큐멘터리에 관한 10가지 믿음
■ 작품을 통해 보여주는 나의 시선 : 다큐멘터리의 주관성
Action_ TV 다큐멘터리와 극장용 다큐멘터리
Ⅱ강 나만의 다큐멘터리 만들기
■ 일반적인 다큐멘터리 제작 과정
Action_ 다큐멘터리 영화 「진실의 문」 OOO님 인터뷰 질문지
■ 다큐멘터리의 시나리오, 기획안
■ 촬영의 단위, 영상의 언어들
샷(shot)
풀 샷(full shot)
미디엄 샷(medium shot)
클로즈업(close up)
시점 샷(point of view)
핸드 헬드(hand held)
인터뷰(interview)
롱 테이크(long take)
■ 촬영할 때 알아두면 좋은 것들
마이크의 사용
룸 톤과 무음
Action_ 가장 좋은 촬영 장비란 어떤 것일까?
■ 편집이라는 마술 : 시간의 조각 모음, 다큐멘터리
1초를 구성하는 연속된 사진들
편집 기술의 탄생
컷의 충돌이 만들어내는 의미
점프 컷(jump cut)
Ⅲ강 내 마음의 기록, 내레이션 : 내 눈으로 바라본 세상을 내레이션으로 쓰기
■ 불만 많은 막내아들의 독백 「나의 아버지」
Action_ 다큐멘터리 영화 「나의 아버지」의 독백 내레이션(1인칭 관찰자/주인공 시점)
■ 억울함을 호소하는 탄원서 내레이션 「무죄」
Action_ 다큐멘터리 영화 무죄의 편지 내레이션
■ 생활문 내레이션 「나의 하루」(중학생 작품)
■ 설명 내레이션 「겨울시장」(고등학생 작품)
Action_ 「겨울시장」 (내레이션 최대한)
■ 취재 스타일 내레이션 「44 size」(대학생 작품)
Action_ 취재 스타일 내레이션
■ 엄마 목소리 내레이션 「동네 한 바퀴」(어머니 작품)
■ 극영화 내레이션의 다양한 형식들
극영화 「소설보다 이상한Stranger than Fiction」
극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극영화 「늑대와 춤을Dances with Wolves」
극영화 「쇼생크 탈출The Shawshank Redemption」
극영화 「베를린 천사의 시Der Himmel über Berlin」
Ⅳ강 다큐멘터리를 만들면서 생각해볼 것들
■ 자료화면의 재연 기능
■ 재연과 재현
■ 얼굴의 권리 : 다큐멘터리 속 인물의 초상권
■ 표현의 자유 : 어디까지가 명예훼손일까요?
■ 작품이라는 생명 : 저작물의 권리
■ 관계 맺기
■ 다큐멘터리라는 타임캡슐
Ⅴ강 이 다큐멘터리 한번 보실래요?
■ 북극의 나누크(Nanook of the North)
■ 의지의 승리(Triumph des Willens) & 밤과 안개(Nuit Et Brouillard)
■ 바시르와 왈츠를(Waltz with Bashir)
■ 올림피아(Olympia) & 도쿄 올림픽(東京 オリンピック)
Action_ 다큐멘터리 거장, 오가와 신스케의 삶
■ 로저와 나(Roger & Me) & 상계동 올림픽
■ 가늘고 푸른 선(The Thin Blue Line) & 진실의 문
■ 학교 가는 길
■ 볼링 포 콜롬바인(Bowling For Columbine)
Action_ 다큐멘터리 감독 마이클 무어의 삶과 그에 대한 논란
■ 송환 & 디어 평양
Action_ 다큐멘터리 거장, 김동원의 삶
■ 전쟁의 안개(The Fog of War)
■ 서칭 포 슈가맨(Searching for Sugar Man)
■ 워 게임(The War Game) & 디스트릭트 9(District 9)
■ 마이 플레이스 & 나의 아버지
■ 아버지의 이름으로(In the Name of the Father) & 무죄
부록
■ 다큐멘터리를 보고 싶을 때 가볼 만한 영화제
인디다큐 페스티발
DMZ 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
EBS 국제다큐 영화제(EIDF)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 앵글 섹션
전주국제영화제
■ 다큐멘터리를 배울 수 있는 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
■ 각 지역의 미디어센터
미디액트(http://www.mediact.org/web)
서울 영상미디어센터(http://www.media-center.or.kr)
강서 영상미디어센터(http://www.gsmedia.gangseo.seoul.kr)
고양 영상미디어센터(http://www.gyme.or.kr)
부천 영상미디어센터(http://www.bcmc.or.kr)
제천 영상미디어센터 봄(http://www.jcbom.kr)
강릉시 영상미디어센터(http://www.gnmedia.or.kr)
전주 시민미디어센터(http://www.Osimi.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