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책머리에
제1주 앎의 교리 삶의 관찰(發菩提心)
제2주 형성된 것은 모두 변화한다(諸行無常)
제3주 연기한 것은 모두 ‘나’가 없다(諸法無我)
제4주 열반은 적정이다(涅槃寂靜)
제5주 삶은 모두 괴롭다(一切皆苦)
제6주 네 가지의 성스러운 진리(四聖諦)
제7주 여덟 가지 바른 길(八正道)
제8주 열두 가지 인연생기(十二緣起)
제9주 다섯 가지 쌓임(五蘊)
제10주 열두 가지로 들어가는 곳(十二處)
제11주 열여덟 가지의 무리(十八界)
제12주 존재의 분석(阿毘達磨)
제13주 겨우 존재하는 것들(極微)
제14주 존재의 요소(五位七十五法)
제15주 번뇌가 있는 달마(有漏)
제16주 인과가 있는 달마(有爲)
제17주 숨겨진 행위(無表業)
제18주 수행의 준비 단계(五停心觀)
제19주 네 가지 기억이 머무르는 곳(四念處)
제20주 진리의 발견(見道)
제21주 마음의 수련(修道)
제22주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는 이(無學道)
제23주 붓다의 세 몸(三身)
제24주 호모 부디쿠스(菩薩)
제25주 셋 그리고 하나의 교법(三乘一乘)
제26주 분별이 없는 지혜(般若)
제27주 보살의 여섯 가지 행법(六波羅蜜)
제28주 가장 올바른 길(中道)
제29주 꽉 차고도 텅 빈 실성(空性)
제30주 진리의 두 형식(二諦)
제31주 인식 속에서만 대상은 존재한다(唯識無境)
제32주 객관도 주관도 모두 없어지다(境識俱泯)
제33주 개체 전환의 근거(轉依)
제34주 존재의 세 상태(三性)
제35주 경험의 인상 축적(薰習)
제36주 번뇌를 돌리어 지혜를 얻는다(轉識得智)
제37주 인간은 다섯 종성을 각기 타고 나는가(五性各別)
제38주 우리 의식은 여덟 개인가 아홉 개인가(八識九識論)
제39주 인식 대상의 세 양상(三類境)
제40주 의식 작용의 네 갈래(四分)
제41주 유식 수행의 다섯 계위(唯識五位)
제42주 부처가 될 가능성(佛性)
제43주 일념 속의 삼천 제법(一念三千)
제44주 일심 속 세 진리의 무애(三諦圓融)
제45주 천태의 세 가지 관법(三種止觀)
제46주 천태의 네 가지 삼매(四種三昧)
제47주 몸과 마음의 본체로서의 연기(法界緣起)
제48주 여래성의 현현 내지 연기의 구극(如來性起)
제49주 존재들의 관계에 대한 열 가지 무애 법문(十玄緣起)
제50주 여섯 모양으로 본 존재의 원융한 모습(六相圓融)
제51주 동전 열 개를 세는 방법(數十錢法)
제52주 앎의 해방 삶의 해탈(普賢行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