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서문
감사의 글
제1장 건강도시계획을 위한 몇 가지 도전들
1. 불건강하고 불평등한 도시들
2. 도시 거버넌스로서의 도시계획
3. 도시에서의 공중보건 증진
4. 국제적인 건강도시운동을 기반으로
5. 과학과 건강도시
6. 건강계획의 정치학을 향하여: 인구집단, 장소, 과정, 권력
7.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서의 건강도시계획
8. 사례
9. 연구 방법
10. 책의 구성
제2장 도시계획과 공중보건의 뿌리를 찾아서
1. 도시계획과 공중보건의 비판적 역사에 대해
2. 1850년대부터 1900년대까지: 오염된 공기와 위생 도시
3. 190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세균 이론과 ‘과학적인 도시(City Scientific)’
4.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생의학적 모형과 병원성 도시
5.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위기와 활동가 도시
6. 1990년대부터 21세기까지: 건강하고 형평적인 도시를 향하여
제3장 도시 거버넌스와 인간의 건강
1. 환경 평가와 건강
2. 환경적 건강검토의 정치
3. 도시 거버넌스로서의 계획 과정
4. 도시계획과 인간의 건강
5. 상품, 서비스, 그리고 보건의료
6. 사회적 연대와 배제
제4장 건강도시계획의 정치를 향하여
1. 제거에서 예방과 예방책으로
2. 장소에 대한 관계적 관점
3. 전문 직업화와 전문화에서 지역적 연대 형성으로
제5장 환경보건 실행의 틀 바꾸기
1. 환경보건, 계획, 그리고 사회적 정의
2. 건강도시계획을 위한 기초 세우기
3. 새로운 정부-지역사회 관계를 자극하는 환경적 정의
4. 지역사회 환경보건조사
5. 환경보건 형평성 제도화하기
6. 건강, 형평성, 지속 가능성에 대한 사업
7. 환경보건계획의 새로운 토대 건설하기
제6장 건강도시 개발
1. 건강도시 개발을 향하여
2. 건강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
3. 건강평가와 계획 실행의 정치
4. 건강평가와 지역사회의 힘
5. 개발 영향비와 지역사회 편익협정
6.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
제7장 건강영향평가
1. 건강영향평가와 참여적 계획을 통합하기
2. 건강도시계획의 틀
3. 건강정책 입안의 목표들에 관한 논쟁
4. 정량화의 한계와 장소 기반의 의미들
5. 지역사회 건강 전문가들: 청소년, 노인, 근로자
6. 건강개발 측정도구
7. 건강도시의 비전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이슈의 틀 만들기
8. 광역시 지역으로의 정책 확산
제8장 건강하고 형평적인 도시 계획하기
1. 건강하고 형평적인 도시계획을 위한 눈에 띄는 도전들
2. 건강도시계획의 정치를 확장하기
3. 예방과 예방책
4. 새로운 측정 및 모니터링 네트워크들을 통한 과학의 공동 생산
5. 장소에 대한 관계적 관점
6. 도시 건강을 위한 실험실 관점과 현장 관점의 결합
7. 새로운 제도와 광역 지역의 연대 구축하기
8. 건강도시를 향하여: 미완의 교향곡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