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감수의 글
프롤로그
1장 집중과 자기 통제 Focus and Self-control
집중과 자기 통제는 IQ만큼 중요하다
집중과 자기 통제란 무엇인가
시간 부족 시대에 집중과 자기 통제 능력을 어떻게 향상할 수 있을까
집중과 자기 통제의 근원: 엄마 뱃속에서부터
집중과 자기 통제: 뇌 속으로의 여행
아기는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려줄까
스트레스와 자기 통제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주의력 결핍 장애와 뇌의 실행 기능
집중과 자기 통제 계발은 언제 시작해야 하는가
집중과 자기 통제를 어떻게 계발할 수 있을까
마시멜로를 지금 한 개 먹을래, 나중에 두 개 먹을래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집중과 자기 통제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아이에게 집중과 자기 통제 능력을 가르치려면?
2장 조망 수용 Perspective Taking
조망 수용의 뇌과학적 바탕
자녀의 조망 수용 능력을 길러주려면 부모 자신부터 배워야 한다
왜 아이들에게 조망 수용이 중요한가
아기들의 조망 수용 능력은 어떻게 드러나는가
아기들에게도 ‘인간 감각’이 있다
크래커 대 브로콜리: 취학 전 유아의 조망 수용 능력 발달
문제 해결보다 더 중요한 것: 학령기 아동의 조망 수용 능력 발달
조망 수용 학습이 주는 광범위한 이득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조망 수용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아이에게 조망 수용 능력을 가르치려면?
3장 의사소통 Communication
아이들은 의사소통을 잘할 수 있게끔 태어난다
부모 화법
부모 표정
두 살이 될 때까지 부모 화법과 부모 표정, 부모 몸짓이 중요한 이유
부모 화법과 부모 표정은 감정을 더 확실하게 전달한다
부모 화법은 아기에게 자신을 통제하는 법을 배우도록 도와준다
부모 화법은 아이에게 소리의 바다에서 단어를 감지하는 법을 가르쳐준다
부모 표정과 부모 몸짓은 아이들이 중요한 대상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도와준다
부모 몸짓은 아이의 의사소통 학습에 도움이 된다
부모 화법은 아이들이 단어를 인식하고 말하는 법을 배울 때 도움이 된다
걸음마 이후의 언어 처리
언어와 읽고 쓰기
저학년 아이들에게 읽기·쓰기 능력을 장려하는 방법
읽기 학습
제2의 언어 학습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아이에게 의사소통 능력을 가르치려면?
4장 연관 짓기 Making Connections
물체 감각
공간 감각
어림수 감각
수 감각: 작은 숫자로 덧셈, 뺄셈하기
위대한 여정: 수 감각에서 수학적 지식으로
실행 기능: 완전히 협력하기
창의성과 사회적 성공의 연관성
예술과 뇌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연관 짓기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아이에게 연관 짓기 능력을 가르치려면?
5장 비판적 사고 Critical Thinking
비판적 사고란 무엇인가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지식이란 무엇인가
비판적 사고의 선행 조건: 이론 세우기
다른 사람에게 배우기: 어린아이들은 잘 도와주는 사람을 믿는다
아이들은 정보를 얻기 위해 어떤 경우 타인에게 의존해야 하는지 알고 있다
유치원에 들어갈 때쯤, 아이들은 자신의 학습을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을 알아본다
어린아이들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분간할 수 있다
어린아이들은 이 세상을 흑백논리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지식의 저주
경험에서 배우기: 호기심의 역할
과학박물관에서의 모험
과학적 사고 가르치기
뜨거운 VS. 차가운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아이에게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가르치려면?
6장 스트레스 관리 Taking on Challenges
어린아이와 스트레스
스트레스의 생리학
스트레스의 영향
스트레스의 본질
신뢰 관계가 중요하다
스트레스 경험은 어떻게 전달되는가
아이들이 스스로 스트레스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라
아이들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법을 배울 때는 어느 정도 통제권을 주라
자녀의 기질
기질보다 중요한 것 1: 양육 형태
기질보다 중요한 것 2: 부모와 아이 주변의 인간관계
어려운 상황과 방해물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어떻게 하면 아이에게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아이에게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가르치려면?
7장 자기 주도 연계 학습 Self-directed, Engaged Learning
학습은 본성과 양육의 산물이다
원칙 1 : 자녀와 신뢰감 있는 관계를 형성하라
원칙 2 : 아이가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하라
원칙 3 : 아이를 사회적, 정서적, 지적으로 참여하게 하라
원칙 4 : 아이의 학습을 정교하게 발전시키고 확장하라
원칙 5 : 아이가 실행하고, 종합하고, 일반화하도록 도와주라
원칙 6 : 점점 책임을 느끼도록 도와주라
원칙 7 : 학습자 공동체를 만들라
아이에게 자기 주도 연계 학습을 가르치려면?
에필로그
감사의 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