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제1부 해항도시와 문화
제1장 동아시아 해항도시의 특성과 인천의 종교성과 신화성
1. 동아시아 해항도시의 타자화된 근대성
2. 해항도시 인천의 종교성과 신화성
제2장 해항도시 인천과 함께 보는 <바다와 조선문화>
1. 해항도시 인천과 근대 최남선의 바다문화관
2. 지리적 역사관을 통한 문화적 역사관 구축
3. '바다'에 대한 기억 재구성으로써 신화성 구축
4. 망각을 깨우는 의지와 도전의 문화사로서 미래기획
제2부 해항도시 인천의 종교성
제1장 인천 강화 <전등사 삼랑성 역사문화 축제>와 불교 축제 문화
1. 불교 축제에서 함의되는 '성과 속'의 이미지와 '동승'
2. 축제에 활용되는 '등'의 초종교성과 놀이 문화적 기호 작용
3. '연꽃'축제의 불교 생태학적 우주 상상력의 기호 작용
4. 미디어 놀이성을 통한 불교적 세계의 대중화
제2장 인천 근대 천주교의 유입과 영향
1. 근대 개항기 기독교의 토착화 과정과 성당 건축물
2. 실학자 정약용과 조선 최초 가톨릭신자 베드로 이승훈
3. 근대 인천 연평도 천주교와 안드레아 긴대건 신부
제3장 <살만교차기>와 함께 보는 인천의 무교적 상상력
1. <살만교차기>와 인천 서해안 풍어제와 배연신굿
2. 바람신의 상상력과 파천과 유교적 사상의 손돌설화
3. 우주목과 인천 나무 설화의 상상력
제4장 인천 도교의 신선 사상과 신종교적 흐름
1. 한국의 도교 문화와 도교 축제로 보는 단군
2. 종교 문화 축제와 융합 종교 축제의 가능성
3. 한국 신종교의 여성관과 대종교의 개천절
제5장 인천 한국 근대 문학관에서 만난 결핵과 종교 문화
1. 인천 개항 박물관에서 만난 결핵과 종교 문화
2. 인천 개항과 근대 수용의 피로감과 상징으로 본 결핵
3. 인천 개항과 치유의 무력감과 결핵 공포증의 종교적 전도성
4. 인천 한국 근대 문학관에서 만난 결핵 문학의 놀이성
제3부 해항도시 인천의 신화성
제1장 고대 인천의 기원과 신화적 상상력
1. 인천의 고인돌 돌의 우주적 상상력
2. <한성 백제 문화제>와 연계된 인천 미추홀과 비류 백제
3. 강화 고려 궁지와 자기 문화의 신화적 상상력
제2장 최남선 <불함문화론>과 <단군론>으로 보는 인천의 단군
1. <불함문화론>과 조선 국토의 배꼽, 강화도
2. 강화도의 단군신화와 <단군세기>
3. 근대 단군에 대한 기억과 신화화 전략
제3장 개항과 근대 경기민요 인천 아리랑의 신화적 상상력
1. 근대의 에피스테메로서 종교의 신화성
2. 해항도시 근대 인천 아리랑의 비판 정신과 신화성
3. 현대 아리랑의 문화적 콘텐츠화와 의미화
제4장 영화 <만신>에 비친 인천의 신화적 놀이성
1. <만신>에 등장하는 종교적 삶과 신념의 신화화
2. 영화 <만신> 속에 그려진 <바리데기>의 성과 속
제4부 인천 해신의 문화적 확장과 바다 관련 설화의 신화성
제1장 인천지역 해신<임경업 장군>의 신화적 상상력
1. 인천지역 해신 <임경업 장군>의 영웅신화와 민족의식
2. 풍어의 신 <임경업 장군>과 조기잡이 설화
3. 무교와 <임경업 장군>의 습합과정
제2장 인천지역 해수관음상과 바다의 모성성
1. <삼국유사>속 원효와 의상과 해수관음상
2. 영등할망과 해수관음보살의 습합된 신화적 상상력
3. 인천 강화도 보문사 해수관음상의 모성성
나오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