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근대 통신(우편·전신·전화)의 발달과 관할부서의 변천
제1절 최초통신기관 우정사와 근대우편사무 관할부서의 변천
1. 최초통신기관 우정사
2. 근대우체(우정)사무 관할부서의 변천
제2절 전신선 가설과 근대전신사무 관할부서의 변천
1. 전신선의 가설
2. 근대전신사무 관할부서의 변천
제3절 근대전화사무 관할부서의 변천
제2장 전기통신기기 최초 목격 및 도입
제1절 영선사 김윤식 청의 전기국에서 어화통을 접하다.
제2절 청나라 유학생 상운 덕률풍 등 전기통신기기를 갖고 오다.
제3절 주미전권사신 일행 유길준 원어기와 전어통을 목격하다.
제3장 덕률풍 상례
제1절 고종의 신정왕후(조대비) 전선상례
제2절 명성황후 인산시 전화사용과 전화상례
제3절 순종의 전화문안와 전화상례
제4절 고종, 봉심 행할 때 전화활용
제4장 궁중용 전용전화의 가설
제1절 궁내부 주관으로 추진된 궁중용 전화가설
제2절 1897년 궁중용 전화가설 이전의 과정
제3절 1897년 궁중용 전화의 가설
제4절 1898년 궁중용 전화 통화기록(독립신문, 외무아문일기, 전화)
1. 1898년 ‘독립신문’에 실린 통화기록
2. 1898년 『외무아문일기』와 『전화』에 실린 통화기록
제5절 궁중용 전화 가설기관 및 운용
제5장 김구선생을 구한 전화 개통시기
제1절 김구선생을 구한 전화 개통시기
1. 김구선생이 사형을 면하게 된 과정
2. ‘사형을 정지하라는 전화친칙’으로 사형을 면한 시기
3. 『백범일지(상권)』의 시기적 착오에 대한 이해
4. 결어
제2절 사형절차 등 근대사법절차에 대한 이해
제6장 1902년 전화소 개설에 따른 공중용 전화와 개인가입전화
제1절 민간전화시대의 태동
제2절 각전화청원성명급위치표
제7장 초대 통신원총판 민상호
제1절 통신권 피탈과정과 일제강점기 민상호 행적
제2절 근대 통신제도 도입과 발전의 주역
1. 통신사무 관할기관의 도입과 발전
2. 근대우편제도의 도입과 발전
3. 전화소개설과 민간(청원인)전화제도 도입
4. 우무학당과 전무학당의 설립
5. 민상호 유품
제8장 전화기의 옛명칭 어화통, 덕률풍, 전어기
제9장 초창기 전기통신기기 현황
제1절 초창기 전신·전화기기 보유현황 (각종전료현존실수표와 전보사사옥간수급물품성책)
제2절 초창기 전화기
1. 기록에 따른 초창기 전화기
2. 외국의 초창기 전화기
제3절 사진 속 초창기 전화기
제10장 무선통신시대가 열리다.
제1절 최초의 근대식 군함 양무호와 광제호
제2절 최초의 무선통신시대를 연 광제호
제11장 일제의 통신권 침해와 피탈에 따른 항거
제1절 통신권 침해 및 피탈과정
제2절 통신권 침해와 피탈에 항거한 통신원 사람들
제3절 통신원 체신과장 김철영과 『요람일기』
제12장 궁내부 전무과 사람들의 대일항쟁
제13장 근대전기통신기술 전수한 미륜사 한국에 묻히다.
제14장 세계 최초로 전화기를 발명한 사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