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한자권의 식민화와 독본 제1장 이각종과 쿠보 토쿠지의 『실용작문법』 제2장 『시문독본』의 편찬 과정과 최남선의 출판 운동 제3장 『시문독본』과 국학의 모색 제4장 『실지응용작문대방』 - 1920년대의 한문유산
제3부 조선총독부의 조선어ㆍ한문 교과서와 식민지 어문정책 제1장 통감부의 『보통학교학도용 한문독본』의 성격과 배경 제2장 중등교육용 조선어급한문독본 개론 제3장 조선어급한문독본의 조선어 인식 제4장 조선어급한문독본의 번역 양상 - 총독부 국어독본과의 비교 연구 제5장 식민지 조선과 동문同文의 허상 그리고 번역
맺는 글 식민지 한자권과 한국의 문자 교체
보론 식민지 교육과 교과서 제1장 번역된 일제 교육정책 - 「보통학교직원 수지요강」 제2장 1910년대 작문교육과 한문고전 - 『신문계』의 독자투고 제3장 교과서와 한국 현대문학 연구 - 『근대 국어교과서를 읽는다』에 대하여
부록
참고문헌 초출일람(수록순) 간행사
서가브라우징
지역의 근대, 근대의 경계 2019 / 지음:양진오 / 서강대학교출판부
한국문학의 동아시아적 지평2017 / 지음: 오무라 마스오 ; 역자: 곽형덕 / 소명
나무의 수사학2018 / 지음: 우찬제 / 문학과지성사
최남선과 근대 지식의 기획2015 / 육당연구학회 지음 ; 김용직...[등] 지음 / 현실문화연구
식민지 근대의 시작과 대중문학의 전개2016 / 이주라 지음 / 소명출판
근대의 수정구슬 = Modern crystal ball : modern women and Korean literature : 근대 여성과 한국문학2016 / 이태숙 지음 / 소명출판
해방기 문학과 주권인민의 정치성 2018 / 지음: 이행선 / 소명출판
식민지 한자권과 한국의 문자 교체 : 국한문 독본과 총독부 조선어급한문독본 비교 연구 2018 / 지음: 임상석 / 소명출판
예술가의 여관 : 나혜석·김일엽·이응노를 품은 수덕여관의 기억 : 우리 근현대의 삶이 담긴 예술가의 아지트2016 / 임수진 지음 ; 1984ilgupalsa 사진 / 이야기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