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이중적 지방 민주주의 : 아이디어와 제도, 그리고 다양한 지방분권
발행연도 - 2018 / 지음: 배유일 / 문우사
-
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
-
자료실
[영종하늘]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YS0000050678
-
ISBN
9791185994581
-
형태
x, 339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
지방자치 및 지방행정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
>
한국정치
책소개
지방분권 자체가 목표가 아닌 국민을 행복하게 하는, 잘 작동하는 ‘생활양식으로서의 지방 민주주의’는 이분법적인 중앙?지방 나누기가 아니라, 국가 계층적 조직에서 지방 수준의 시민사회에 이르기까지 수직적·수평적으로 통합되고 확장된 기반적 권력이 필요하다.
목차
머리말
제 1 장 지방 민주주의 아이디어와 이론, 그리고 분권개혁
I. 전 세계적 지방분권과 지방 민주주의의 물결
II. 진화적 개념으로써의 지방분권과 기대효과
III. 지방분권화와 한국의 이중적 민주주의: 연구문제와 질문
IV. 이 책의 구성
제 2 장 지방자치와 분권은 왜 일어나는가?
I. 왜 지방분권개혁은 일어나는가? 이론적 접근
II. ‘아이디어’로서의 지방 민주주의 정치
III. 한국의 중앙집권체제의 위기와 아이디어로서의 지방분권 등장
IV. 결론
제 3 장 중앙-지방 관계와 현대적 정책국가의 탄생
I. 현대적 중앙-지방 관계의 형성: 다양한 지방 민주주의
II. 다양한 지방분권: 다층적 지방 민주주의 모형
III. 한국의 다층적 지방 민주주의와 경로의존: 변화와 지속
제 4 장 중앙집권의 전통과 불연속적 지방자치: 경로의존성
I. 근대 이전 한국의 중앙집권 전통과 유산
II. 한말(韓末) 이후 지방제도 개혁과 유산: 변화와 지속
III. 제한된 지방자치 개혁: 미군정의 통치와 대한민국 수립
IV. 결론: 중앙집권성과 경로의존성
제 5 장 경로의존성의 탈피와 지방분권의 정치
I. 국가주의, 발전국가, 그리고 중앙집권의 지속
II.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의 정치: 아이디어 메커니즘
III. 비자발적 협조, 저항, 무관심: 반대의 정치
IV. 결론: 아이디어의 구성적 변화와 도전
제 6 장 공론의 장, 시민사회와 지방 민주주의
I. 시민사회와 공론의 장
II. 한국적 시민사회의 특징
III. 변화의 기류: 참여정부 지방분권개혁의 정치와 시민사회
IV. 결론
제 7 장 결론: 한국의 이중적 지방 민주주의
I. 한국의 이중적 지방 민주주의
II. 결론: 도전과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1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1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