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노동야학의 현장에서 더 나은 노동과 교육을 고민하던 한 실천가, 연구자의 여정에서 나온 결과물이다. 노동야학을 좀 더 두텁게 바라보기 위해 교육학적, 철학적 논의도 다루는데, 실제로 노동야학의 밑거름이 되었던 프레이리의 의식화 이론과 최근 민주주의, 노동과 학습에 대해 새로운 문제 제기를 하고 있는 랑시에르의 ‘프롤레타리아트의 밤’과 관련한 내용이 그것이다.
목차
들어가며 노동과 교육이 만나는 길
1 노동야학, 노동과 학습의 만남 2 노동야학의 시작 3 노동야학의 전국적 확산 4 몫 없는 자들의 글쓰기, 말하기 5 노동야학 두텁게 보기 6 노동야학의 쇠퇴와 소멸 7 노동과 학습의 새로운 만남을 위하여
나오며 ‘노동’과 ‘야학’을 넘어
미주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뉴저지 교육 전문가의) 미국 입시 완벽 가이드 2023 / 지은이: 유시정 , 튜블릿 콘텐츠 연구소 / 넥서스
미국이 길러낸 중국의 엘리트들 : 미국의 중국 유학생들, 1872-1931 2023 / 지음: 장융전 ; 옮김: 이화승 / 글항아리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미국 명문대학 합격 비밀2010 / 정규영 지음 / 럭스미디어
미국대학 장학금 나도 받을 수 있다: 1년에 1억 드는 미국대학, 정말 다 내고 다닐 것인가?2018 / 지음:정연미, 이지원 / unigrant(유니그랜트)
(한 권으로 끝내는)미국 유학 : SAT 대비에서 각 대학별 합격 정보까지2014 / Finnguil Williams Admissions Consulting & Research Institute 지음 / 문학세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