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제1장 고양이의 관상학 KNOW THYSELF?
1. 글 쓰는 고양이 혹은 관찰하는 고양이
2. 관찰 담론(Discours)
3. 코라는 중심
4. 관찰되는 주체
제2장 관찰자의 공허 『피안 지날 때까지(彼岸過迄)』
1. 이야기와 구성의 문제
2. 게이타로의 위치
3. 도시의 표정을 읽다
4. 관찰자의 공허
제3장 주니카이의 풍경
1. 나가이 가후(永井荷風)의 아사쿠사(浅草)
2. 주니카이로부터의 전망
3. 아사쿠사와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무로 사이세이(室生犀星)
4.「환영의 도시」의 주니카이
5. 도시의 데몬(demon)이 사는 거처 ―‘주니카이’ 이후에
제4장 향수의 시각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사진
1. ‘문명개화’에 대한 향수
2. 렌즈 속 향수
3. 유령화하는 자기 혹은 환상의 불능
제5장 산과 시네마 고향을 잃은 문학과 스크린 속 이계(異界)
1. 산인과 낭만주의
2. ‘고향을 잃은 문학’과 근대의 등산
3. 이인이 없는 세계 ―『요시노구즈』
4. 은막 위 의사(擬似) 현실
5. 분신 이야기
6. 클로즈업
7. 스크린 속의 얼굴
제6장 손가락 끝의 시학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와 신체표상
1. 손가락의 사람, 하기와라 사쿠타로
2. 단편화와 유동화, 그리고 아포토시스(apoptosis)
3. 아픈 손, 빛나는 손
제7장 세바스찬의 피부 나체·미시마(三島)·다니자키(谷崎)
1. [보드라운 피부] 혹은[달아오르는 피부]
2. 이시우치 미야코(石内都)가 찍는 ‘피부’
3. 주체화하는 피사체 ―『장미형(薔薇刑)』의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
4. 성 세바스찬의 피부
5.『금색의 죽음(金色の死)』과 미시마 유키오
6. 금색의 세바스찬
7. 1981년의 성 세바스찬
제8장 맡아지는 언어로 후각 표상과 근대시, 그리고 그 외
1. 근대의 시각중심주의와 후각
2. 메이지 도쿄의 악취
3. 세기말 퇴화론과 후각
4. 맡아지는 언어로
제9장 향기로운 텍스트 근대 신체와 후각 표상
1. 냄새를 언어화하기 ―『향수』와『거꾸로』
2. 상사화가 썩을 때 ―『매음부』 등
3. 악취 텍스트 ―『외양간의 냄새』
4. 체취의 발견 ―액취(腋臭)의 인류학
5. 냄새의 젠더화에 저항하는 ―「선혈」,「 이혼」 등
6. 향기로운 텍스트로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