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정토신앙을 설하고 있는 세 가지 주요 경전을 흔히 정토삼부경(『무량수경』, 『관무량수경』, 『아미타경』)이라 하는데, 저자는 그 가운데 특히 『관무량수경』이 정토신앙의 역사와 핵심을 다 아우르고 있어 이 경을 선택해 해설하게 되었다고 한다.
목차
머리말
제1부 듣고 생각하는 『관무량수경』
1. 왜 정토신앙인가?
2. 왜 『관무량수경』인가?
3. 극한의 고통 속에서
4. 절체절명의 위기
5. 마침내 어머니까지 갇히다
6. 예토를 싫어하고 정토를 구하다
7. 위제희 부인의 선택
8. 권진勸進, 권진하시는지요?
9. 거울 속의 얼굴처럼
10. 제1 일상관日想觀
11. 제2 수상관水想觀
12. 제3 지상관地想觀
13. 권진하라, 지상관
14. 제4 보수관寶樹觀
15. 극락과 현대인의 궁합 문제
16. 제5 팔공덕수관八功德水觀
17. 제6 보루관寶樓觀
18. 제7 화좌관華座觀
19. 꽃의자
20. 원력의 창조
21. 제8 상관像觀
22. 마음의 눈으로
23. 제9 편관일체색신관遍觀一切色身觀
24. 몸에서 마음으로
25. 제10 관음관觀音觀
26. 또 하나의 관음신앙
27. 제11 세지관勢至觀
28. 관음 세지 나란히
29. 제12 보관普觀
30. 제13 잡상관雜想觀
31. 제14-1 상품상생上品上生
32. 권진
33. 제14-2 상품중생上品中生
34. 부자상영父子相迎
35. 제14-3 상품하생上品下生
36. 환희의 나라
37. 제15-1 중품상생中品上生
38. 죽음과 정토
39. 제15-2 중품중생中品中生
40. 저 부처님을 따라서
41. 제15-3 중품하생中品下生
42. 제16-1 하품상생下品上生
43. ‘나무아미타불’만으로
44. 제16-2 하품중생下品中生
45. 제16-3 하품하생下品下生
46. 보리심菩提心의 문제
47. 묘호인妙好人
48. 이제, 권진이다
제2부 편지로 읽는 『관무량수경』
1. 칭명사稱名寺
2. 붓쿄(佛敎)대학의 예배당
3. 지옥과 유토피아
4. 『관무량수경』의 매력
5. 묘호인妙好人과 묘코닌(妙好人)
6. ‘권진勸進’, 주민등록을 하다
7. 어머니 그리고 아들
8. 천태종과 정토종
제3부 우리말 『관무량수경』
1. 서분序分
1.1 아사세의 패륜
1.2 예토를 싫어하고 정토를 구하다
2. 정종분正宗分
2.1 세 가지 복(三福)
2.2 극락세계의 관찰
2.3 제1 일상관日想觀
2.4 제2 수상관水想觀
2.5 제3 지상관地想觀
2.6 제4 보수관寶樹觀
2.7 제5 팔공덕수관八功德水觀
2.8 제6 보루관寶樓觀
2.9 제7 화좌관華座觀
2.10 제8 상관像觀
2.11 제9 편관일체색신관遍觀一切色身觀
2.12 제10 관음관觀音觀
2.13 제11 세지관勢至觀
2.14 제12 보관普觀
2.15 제13 잡상관雜想觀
2.16 제14 상배관上輩觀
2.16.1 상품상생上品上生
2.16.2 상품중생上品中生
2.16.3 상품하생上品下生
2.17 제15 중배관中輩觀
2.17.1 중품상생中品上生
2.17.2 중품중생中品中生
2.17.3 중품하생中品下生
2.18 제16 하배관下輩觀
2.18.1 하품상생下品上生
2.18.2 하품중생下品中生
2.18.3 하품하생下品下生
3. 유통분流通分
3.1 대중들의 기쁨
3.2 이 경전의 이름
3.3 사람 중의 연꽃
3.4 대중들의 퇴장
해설 ‘처음 만난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에 대하여 / 이현옥
부록 저자의 저서, 역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