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슬람 문명의 근본 토대이자 이슬람 사회의 율법이며 무슬림의 생활규범인 샤리아를 이해하기 위해 그 법원(法源)이 되는 코란, 순나, 하디스의 유래와 의의 그리고 구체적인 샤리아의 규범들이 제정되는 과정과 의미를 소개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샤리아의 법원을 이해한다
코란 -코란 구절은 모두가 법이 되나?
1. 코란의 유래
2. 코란의 규범절
3. 코란과 샤리아
순나 -사도 무함마드의 말, 행동, 침묵이 법이 되나?
1. 순나의 의의
2. 계시에 의한 사도 무함마드의 권위
3. 하디스에 나타난 사도 무함마드의 권위
4. 순니 4대 법학파에 의한 순나(하디스)의 권위
5. 순나, 알라의 낭송되지 않는 계시
하디스 -참 하디스와 거짓 하디스는 어떻게 구별하나?
1. 하디스, 순나의 기록
2. 하디스 전문용어학
3. 부카리 하디스의 전언가 계보 분석
4. 하디스 용어학, 참 순나를 위한 여정
법학파 -주요 법학파들과 그들의 주요 법원은 무엇인가?
1. 법학파, 연구의 방법
2. 이슬람 법학파
이즈마으 -언제, 누구의, 무엇에 대한 합의인가?
1. 이즈마으와 이즈티하드
2. 이즈마으의 개념
3. 샤리아 법원이 된 근거
4. 현대적 적용 가능성
5. 이즈마으의 미래
끼야스 -필수요소들과 개념은 무엇인가?
1. 끼야스 연구의 출발점
2. 끼야스와 필수 요소들의 개념
3. 법적 근거와 논쟁
4. 현대적 적용 필요성
5. 끼야스의 의의
제2부 샤리아 규범은 이렇게 제정되었다
잇다 -무슬림 여성이 재혼하려면 일정 기간을 기다려야 한다
1. 잇다의 기본 개념
2. 잇다의 유형과 기간
3. 순니 4대 법학파
4. 현대 아랍 국가의 가족법에 규정된 잇다
5. 잇다의 의의
리바 -이자나 부당한 상행위는 모두 금지이다
1. 리바와 샤리아
2. 코란
3. 하디스(순나)
4. 법학파
5. 리바 금지의 의의
음식과 의복 -이 음식은 할랄이고, 저 옷은 하람이다
1. 음식과 의복의 샤리아
2. 음식에 대한 샤리아 제정과 세부 규정
3. 의복에 대한 샤리아 제정과 세부 규정
4. 낭비와 사치를 금하다
[부록1] 코란 114개 장의 특징
[부록2] 순니 하디스 6서의 주제
[부록3] 시아 하디스 4서의 주제
[부록4] 주요 용어 및 개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