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1부 1910년대 독립운동과 초기 졸업생들의 참여
1 신민회와 105인 사건
2 서북간도 지역의 독립운동기지 개척
3 몽골 지역에서의 독립운동과 의료활동
** 독립운동가들과 초기 졸업생들의 인연
1부 화서학파의 형성과 위정척사운동
화서학파의 형성과 위정척사운동
화서학파의 성립 ‖ 화서학파의 분파 과정 화서학파의 위정척사운동 ‖ 맺음말
2부 독립운동의 선도자
최익현의 상소 항일투쟁
강화도조약 반대 상소 ‖ 갑오경장 반대 상소
러일전쟁기 일제침략 규탄 상소 ‖ 맺음말
유인석의 의병통합 노력과 안중근의 하얼빈의거
연해주 망명과 현지 의병의 동향 ‖ 의병통합 노력
유인석과 안중근의 관계 ‖ 맺음말
3부 화서학파 의병장
이소응의 항일투쟁
생애와 학맥 ‖ 을미의병투쟁
국치 후의 ‘수의’ 투쟁 ‖ 맺음말
노응규의 진주의병 항전
생애와 학맥 ‖ 진주의병의 항전
진주의병의 이중 구조 ‖ 맺음말
주용규의 제천의병 활동과 학문・사상
생애와 학맥 ‖ 학문과 사상 ‖ 맺음말
이강년의 사상과 거의 논변
생애와 수학 ‖ 존화양이사상
거의에 대한 논변 ‖ 맺음말
이정규의 생애와 항일투쟁
성장과정과 화서학파 입문 ‖ 제천의병 참여
유인석 수종활동 ‖ 경술국치 전후 서울에서의 항일투쟁
일제강점기의 자정수의 ‖ 맺음말
민용호의 학통과 거의 논변
생애와 학통 ‖ 거의의 논리
항전의 논리 ‖ 맺음말
4부 화서학파 항일지사
이근원의 생애와 학문
생애와 수학 ‖ 학문과 사상 ‖ 맺음말
김영근의 항일 시국관과 북간도 망명
생애와 학통 ‖ 항일 시국관
북간도 망명 ‖ 맺음말
곽한소의 삶과 의병투쟁
가계와 생애 ‖ 최익현 문하 입문
의병투쟁 ‖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