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부 참여형 공공갈등관리 개관
제1장 서론
1. 공공갈등관리의 필요성
2. 공공갈등관리 방안 전환 필요성
3. 본서의 구성
제2장 공공갈등관리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공공갈등의 의미
2. 한국의 공공갈등 현황과 주요 공공갈등 사례
3. 공공갈등의 유형
4. 공공갈등의 원인
5. 공공갈등관리 방안
6. 해외 선진국 공공갈등관리제도
제3장 참여형 공공갈등관리
1. 참여형 공공갈등관리의 의의
2. 참여형 공공갈등관리의 효과
3. 참여형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정부(관료)의 역할
4. 참여형 공공갈등관리방안의 유형과 연구방향
제4장 공공갈등관리 방안으로서의 ADR
1. ADR 등장배경과 중요성
2. ADR의 개념과 공공갈등관리
3. ADR 관련 선행연구 및 접근 모형 이해
4. 행정형 ADR 기구에 관한 실증분석
5. 참여형 공공갈등관리 방안으로서의 ADR 시사점
제2부 공론화와 숙의민주주의
제5장 공론화 의의
1. 공론화 의미
2. 공론화 개념
3. 공론화의 발달과 역사적 맥락
제6장 공론화 유형: Mini-publics 유형
1. 공론화(숙의민주주의) 유형과 Mini-publics
2. Mini-publics의 특징과 유형
3. Mini-publics의 사례와 적합성 평가
4. 공론화 유형 함의점
제7장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공론화 적용 가능성
1. 공론화 적용 가능성 의의
2. 공론화와 정책결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
3.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공론화 적용 가능성 실증분석
4. 공론화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 및 함의점
제8장 공론화 사례
1. 공론화 사례의 선정
2.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사례
3. 일본 ‘에너지·환경 선택지’ 공론화 사례
제9장 한국 사회에서의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숙의민주주의 제도화 가능성
1. 숙의민주주의 제도화 의의
2. 숙의민주주의 제도화에 관한 이론적 논의
3. 숙의민주주의와 제도화 사례 분석
4. 숙의민주주의 제도화 함의점
5. 참여형 공공갈등관리 함의점
사항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