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해제
웅거
학파로서 비판법학
이 책〈비판법학운동〉
제1부 또 다른 시대, 더 원대한 과업(2014)
제1장 맥락과 운동 그리고 이 책
제 1 절 맥락
제 2 절 운동과 후속 형태
제 3 절 이책
제2장 현재 법사상의 소명
제 1 절 법사상의 두 가지 소명
제 2 절 보편적 법사상사
제 3 절 현대 법의 천재
분산적 재산 관념
관계적 계약 관념
구조수정적인 구조 관념
유연성을 가능하게 하는 상속분 관념
제 4 절 사제로서 그리고 예언가로서 법률가
제2부 비판법학운동(1986)
제3장 서론: 법사상과 법실천에서 좌파운동의 전통
제4장 법사상에 대한 비판
제 1 절 객관주의에 대한 비판
제 2 절 형식주의에 대한 비판
제 3 절 객관주의와 형식주의에 대한 비판들의 관계: 현대 법이론에 대한 비판의 의미
제5장 비판에서 건설로
제 1 절 형식주의에 대한 비판의 건설적 귀결: 이탈주의적 원리
제 2 절 객관주의에 대한 비판의 건설적 귀결: 민주주의와 시장의 제도적 형태의 재규정
제 3 절 사회적 이상에서 제도적 프로그램으로
정치적 및 문화적 혁명
민주주의 비판과 재발명
정부의 조직
경제의 조직
권리의 체제
변혁적 이상과 정치적 현실주의
제6장 원리의 두 모델
제 1 절 제도적 프로그램에서 원리적 사례로: 평등보호와 탈구축권 【제1원리모델】
평등보호의 용도
평등보호의 감춰진 이론(기저관념)
평등보호의 미국적 원리
평등보호의 재개념화와 재구성
원리에서 권위와 현실주의
제 2 절 제도적 프로그램에서 원리적 사례로: 계약, 시장, 연대 【제2원리모델】
계약이론의 해체
제1원칙과 그 대항원칙: 계약 체결의 자유와 공동체
제2원칙과 그 대항원칙: 계약의 자유와 공정성
대항비전의 검증: 범례적 난점의 사례들
대항비전의 일반화: 의무의 원천과 권리의 본성
대항비전의 확장과 제약
대항비전의 정당화
두 모델의 비교
제7장 기본적 관념들과 폭넓은 함축들
제 1 절 내재적 발전을 넘어서, 사회적 이해와 규범적 결단
제 2 절 폭넓은 함축들
이데올로기적 논쟁의 조건들
정치철학의 방법
모더니스트 체험에서 자유와 구조
사회이론의 의제
제8장 또 다른 정치
제 1 절 정치적 행동의 구조들
제 2 절 변혁적 정치를 다시 상상하기
결론 부조화의 교훈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