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은 어떤 학문을 추구해야 하는가' 하는 고민을 오랫동안 해온 언론학자가 원론적인 차원에서의 문제 제기부터 시작해 구체적으로 언론학 내에서 세부 연구 영역별로 접근해 심도 있게 살펴본다.
목차
머리말
1장 한국 언론학, 어떤 학문을 할 것인가 언론학의 학문적 정체성 찾기 이론의 영역화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1부 언론학의 학문적 정체성 찾기 2장 언론학의 영역주의와 정체성 위기 1. 무엇이 문제인가 2. 영역주의와 정체성의 설정 3. 공식적 지식과 비공식적 지식의 이중 구조 4. 비공식적 지식의 닮은꼴인 공식적 지식 5. 언론학의 현실 연관성: 비판 언론학의 사례 6. 현실에 근거한 언론학을 위해 3장 언론학의 제도적 성공담과 내재적 위기론 1. 언론학은 성공한 학문인가 2. 새로운 지식과 낡은 틀: 언론학 연구의 파편화 3. 왜 SMCR 패러다임이 문제인가 4. 지식 파편화의 역사적, 구조적 맥락 5. 패러다임 대화의 실종과 이론적 다원주의의 허상 6. 인문학적 상상력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탐색 4장 수정주의 전통과 비판 언론학 1. 수정주의를 다시 본다 2. 수정주의의 현대적 의미 3. 영역주의와 방법론적 순수주의 비판: 이론적 차원의 수정주의 4. 수정주의의 실천적 함의: 사회주의에서 급진적 다원주의로 5. 수정주의와 비판 언론학의 과제 5장 언론학에서 비판적 패러다임의 문제 설정 1. 왜 문제 설정이 문제인가 2. 전환기의 비판적 패러다임, 단절과 연속성 3. 비판적 패러다임의 정체성 문제 4. 1980년대는 무엇을 남겼는가 5. 1990년대, 근대와 탈근대의 문제 설정 6. ‘근대성’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2부 이론의 영역화와 맥락화 6장 공간 이론과 한국 지역 방송 연구 1. 왜 ‘공간’ 이론이 필요한가 2. 기술적·지리적 공간 개념의 한계 3. 규범적 공간 개념의 한계 4.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지역, 지역 방송 5. 방송 연구의 학문 정체성에 대한 반성 7장 지역 언론학의 학문 정체성 1. 지역 언론학은 무엇을 하였는가 2. 사회 현상으로서의 지역 언론 3. 지역 언론 연구와 규범성 4. 지역 언론 연구와 공간성 5. 지역 언론학, 어디로 갈 것인가 8장 저널리즘 연구의 지식사 1. 저널리즘 연구를 다시 본다 2. 저널리즘 연구란 무엇인가 3. 저널리즘 연구, ‘학문의 사생아적’ 기원과 그 유산 4. 경험주의 연구의 등장과 학문적 편향화 5. 비판 이론의 등장과 저널리즘의 ‘해체’ 6. 이론적 다원화와 저널리즘의 귀환 7. 탈저널리즘 시대와 저널리즘 연구의 미래 9장 텔레비전 생산 연구의 진단 1. 왜 생산 연구인가 2. 텔레비전 생산 연구란 무엇인가 3. 한국 텔레비전 생산 연구의 주요 흐름과 특징 4. 문제 제기와 대상 설정에서의 문제점 5. 연구방법론의 문제점 6. 두 걸음 전진을 위한 한 걸음 후퇴
참고 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뉴스가 위로가 되는 이상한 시대입니다2017 / 지음: 임경빈 / 부키
언론 쫌 아는 10대 : 뉴스, 똑똑하게 보고 읽는 법 2023 / 글: 정민지 ; 그림: 이혜원 / 풀빛
언론 쫌 아는 10대 : 뉴스, 똑똑하게 보고 읽는 법 2023 / 글: 정민지 ; 그림: 이혜원 / 풀빛
언론 쫌 아는 10대 : 뉴스, 똑똑하게 보고 읽는 법 2023 / 글: 정민지 ; 그림: 이혜원 / 풀빛
언론 자유의 역설과 저널리즘의 딜레마 = The paradox of press freedom and the dilemma of journalism 2022 / 지음: 한국언론정보학회 [외.] / 멀리깊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