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는 왜 대중을 뜨겁게 하는가? 우리는 왜 광장에서 민주주의를 외치는가? 1980년 서울과 광주 금남로에서 대중은 가장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훌라송>을 부르며, 정권 타도를 외쳤다. 2016년 겨울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이 터졌을 때 대중은 광장에 모여 <하야가>를 불렀다.
목차
머리말 광장에서 혁명을 보다
제1장 광장에 촛불이 타오르다 제2장 울어라 은방울아, 세종로가 여기다 제3장 대통령 찬가에서 독립행진곡까지 제4장 세종로가 희망으로 눈을 뜨다 제5장 서울시민회관, 대중문화를 품다 제6장 공포와 불안감을 조성한 반공주의의 무대 제7장 영자의 뼈아픈 질문 제8장 그들은 자유에 미쳤다 제9장 세종문화회관에 트로트의 자리는 없었다 제10장 '구리 이순신'과 '도깨비' 제11장 대통령은 왜 금기였는가? 제12장 그해 겨울, 광장은 뜨거웠다
서가브라우징
해방정국의 풍경 : 인물로 돌아보는 대한민국 현대사 2024 / 지음: 신복룡 / 중앙북스
혐오와 왜곡, 감정싸움 없이 한국사를 이야기하는 법 2023 / 지음: 심용환 / 휴머니스트
혐오와 왜곡, 감정싸움 없이 한국사를 이야기하는 법 2023 / 지음: 심용환 / 휴머니스트
대한민국 건국 전후사 바로 알기2019 / 지음: 양동안 / 대추나무
나의 한국현대사 : 1959-2014, 55년의 기록2014 / 지음: 유시민 / 돌베개
나의 한국현대사: 1959-20202021 / 지음: 유시민 / 돌베개
나의 한국현대사: 1959-20202021 / 지음: 유시민 / 돌베개
광장의 노래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가 : 대통령 찬가에서 하야가까지2018 / 지음: 이영미 / 인물과사상사
해방공간, 일상을 바꾼 여성들의 역사 : 제도와 규정 억압에 균열을 낸 여성들의 반란2015 / 지음: 이임하 / 철수와영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