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산책을 나서며
삶의 현장, 을지로
청계천의 물줄기가 만든 을지로
화려한 스카이라인에 숨겨진 식민역사의 공간, 을지로1가
금융 지구의 시작, 을지로2가
골뱅이부터 노가리까지, 노포골목 을지로
수표동, 장인의 수제화
타일·도기·조명 특화거리, 을지로3·4가
철공 골목에서 조각 특화구역으로, 산림동
대한민국 인쇄 산업의 메카, 을지로·충무로 인쇄 골목
인쇄 골목, 그 힘을 잃어가다
을지로를 가로지로는 세운상가
소개공지대에서 세운상가로
재생으로 새로 입은 세운상가
지하에 답이 있다, 을지로 지하상가
을지로, 재생을 말하다
도시 산책 플러스
참고문헌
전통의 활용, 익선동
북촌 아래 작은 한옥 마을, 익선동
경성의 건축왕에서 민족 공간의 수호자로
정세권의 꿈을 담은 집
수표로28길, 그 창의적인 실험들
변화와 갈등 사이에 선 익선다다
그들의 불편한 동거는 가능할까?
화류 문화의 상징 공간, 서울 3대 요정을 만나다
칼국수 노포와 낙원동 아구찜
락희거리는 과연 즐거울까?
성소수자의 해방구에서 길을 잃다
도시 산책 플러스
참고문헌
신구의 조화가 만들어 낸, 해방촌
제2의 이태원, 해방촌을 가다
실향민, 남산 기슭에서 터전을 일구다
전통 옹기 노포 한신옹기
신흥로, 펍으로 밤을 열다
문화 예술의 새로운 실험 무대 신흥로
신흥로 언덕길 따라 해방촌 오거리까지
아트마켓으로 변화하는 신흥시장
스웨터에서 니트 특성화 거리로
주민협의체를 통한 마중물 사업의 실천
해방촌의 역사를 간직한 후암동 108 계단
독립서점들, 속속 해방촌으로
평면도와 입면도 사이, 인문학길 소월로
도시 산책 플러스
참고문헌
산업 공간의 재생, 성수동
고가 철교 위와 아래
살곶이벌과 뚝섬으로 불렸던 곳
봉제 공장에서 인쇄 골목까지
자동차 정비소, 성수동으로 모이다
전통 3강과 신흥 3강의 만남
공동 판매에서 수제화 아카데미까지
성수동 수제화 거리 연무장길
재생의 실험 무대 성수이로
성수동, 착한 기업을 만들다
젠트리피케이션의 경험이 약이 될까?
도시 산책 플러스
참고문헌
봉제거리 박물관, 창신동
봉제 거리, 창신마을로 떠나다
수려한 별장 터에서 판자촌으로
백남준과 박수근, 두 거장의 공간이 되살아나다
동대문 패션 산업의 숨은 주역, 창신동 봉제거리박물관
동대문-창신동 의류 생산 24시
서울 도심 유일의 절벽 마을, 창신동 절개지
창신 마을 답사길
전통과 이국의 만남, 창신골목시장과 네팔음식거리
50년 역사의 노포 골목, 인장 골목과 문구·완구 거리
재생으로 옷을 입는 창신동
사회적 경제의 실험 무대 창신길
사회적 기업과 공공예술 프로젝트
우리나라 사회적 경제의 현주소
도시 산책 플러스
참고문헌
철공과 예술의 만남, 문래동
문래동 철공 골목을 찾아서
영등포와 문래의 시간을 거슬러 오르다
10명만 모이면 미사일도 만드는 골목
철공인들이 그려낸 철공 골목 풍경화
문래동4가, 1941년 조선영단주택을 만나다
벽화와 조형으로 재탄생한 문래 철공 골목
문래 철공 골목, 예술인들이 놓친 것들
젊은 열정의 무대가 된 철공 골목
젊은 예술가들의 문화 예술 공간으로
문래동 문화예술의 인큐베이팅은 어디까지?
전면 재개발에서 재생 모델로
도시 산책 플러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