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의 우리에게 유럽은 무엇이었나? 150년 전, 조선과 유럽이 처음으로 교류한 19세기 말로 돌아간다. 당시의 조선인들은 서학을 배척하던 시대를 지나 신문, 실록, 문학 작품을 통해 그들의 국민성, 풍습, 지리를 알고자 했고, 그들을 배워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목차
들어가며 | 새로운 세계, 유럽을 발견한 첫 장면으로
1장 유럽과의 첫 만남과 첫인상 동과 서, 그 최초의 만남들 이양선, 눈앞에 나타난 불길한 존재 서양 문명의 첫 물결이었던 천주학과 서학 문헌으로 배운 구라파와 구라파인들 어렴풋이 상상해본 그들: 영길리와 불랑서
2장 제국주의와 식민지의 시대, 《한성순보》가 포착한 유럽 중국의 개항과 대세의 이동 세계 속으로 들어간 조선 그리고 《한성순보》의 탄생 뉴스의 원천이 된 상해의 영국 조계 신문들 제국주의와 서세동점의 한허리를 관통하여 외신의 홍수 속에 사로잡힌 청불전쟁과 프랑스
3장 오랑캐에서 문명국으로, 우리가 발견한 유럽 세계사에 대한 관심과 구한말의 유럽 인식 새로운 문명의 향방과 유럽이라는 모델 각국 국민성에 대한 인식과 그 부침의 역사
4장 사상과 문화의 보물 창고: 근대 문화의 지향점이 된 유럽 시베리아 철도로 닿을 수 있는 그곳, 「세계일주가」가 노래한 유럽 유럽 문학을 통해 배우는 국민문학과 세계문학 문호로 불린 유럽 작가들, 인류의 문화유산이 된 작품들 문호 백년제: 20세기에 19세기 유럽 문학을 불러내는 방법 작가들의 영감의 원천이 된 유럽 문학과 작가들
나오며 | 유럽이라는 우리 안의 타자, 그들을 통해 본 우리 주
서가브라우징
정조 책문, 새로운 국가를 묻다 : 개혁군주 정조의 78가지 질문2017 / 지음: 정조 ; 옮김: 신창호 / 판미동
춤을 사랑한 조선의 왕세자: 효명2020 / 지은이: 김거부 / 시간의물레
조선, 1894년 여름 : 오스트리아인 헤세-바르텍의 여행기2012 / 지음: 에른스트 폰 헤세-바르텍 ; 옮김: 정현규 / 책과함께
다시 읽는 하멜표류기: 코레아, 유럽을 처음 만나다2020 / 지음: 강준식 / 그림씨
계몽의 시대 : 근대적 시공간과 민족의 탄생2014 / 고미숙 지음 / 북드라망
연애의 시대 : 근대적 여성성과 사랑의 탄생2014 / 고미숙 지음 / 북드라망
러일전쟁과 대한제국2022 / 지음: 김문자; 옮김: 김흥수 / 그물
우리 안의 유럽, 기원과 시작 : 근대의 문턱에서 조우한 유럽2019 / 지음: 김미지 / 생각의힘
안중근과 일본, 일본인: 끝나지 않은 역사 전쟁2022 / 김봉진 지음 / 지식산업사
명성황후 최후의 날 : 서양인 사바찐이 목격한 을미사변, 그 하루의 기억2014 / 김영수 지음 / 말글빛냄
100년 전의 세계 일주: 대한제국의 운명을 건 민영환의 비밀외교2020 / 지은이: 김영수 / EBS Books:
지금, 천천히 고종을 읽는 이유: 국가는 어떻게 폐망하는가2020 / 지음: 김용삼 / 백년동안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 : 고종 즉위부터 임시정부 수립까지2019 / 지음: 김태웅, 김대호 / arte
전봉준 재판정 참관기 : 1894년, 전봉준과 조선 그리고 일본이 벌인 진실공방의 현장 속으로!2016 / 김흥식 엮음 / 서해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