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라는 개념도 없었던 먼 옛날, 생존의 기술을 가르치고 익혔던 현장에서부터 기록에 남겨진 최초의 학교,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달라졌던 수많은 학교들을 거쳐 오늘날 대안학교에 이르기까지. 호기심 가득한 질문들을 하나씩 꼽으며 차근차근 학교의 역사를 들려준다.
목차
원시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01 학교는 언제 처음 생겼나요? 02 고구려의 태학과 경당은 무엇이 다른가요? 03 백제에 박사가 있었다고요? 04 신라의 화랑들은 무엇을 배웠나요? 05 통일 신라의 국학은 오늘날의 대학인가요? 06 해외 유학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07 고려의 국자감에서는 무엇을 가르쳤나요? 08 과거는 언제부터 보기 시작했나요? 09 과거 제도의 문제점은 없었나요? 10 고려 시대의 사학이 오늘날의 학원인가요?
조선 시대 11 조선 시대의 성균관은 어떤 곳이었나요? 12 향교와 서원은 어떻게 다를까요? 13 왕이 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 했나요? 14 삼강오륜을 왜 가르쳤나요? 15 여성들은 어떻게 공부를 했나요? 16 옛날에도 외국어 교육이 중요했나요? 17 조선 시대에도 교과서가 있었나요? 18 누구나 서당에 다녔나요? 19 실학자들은 왜 우리 것을 배우자고 했나요? 20 서양의 학문이 들어오면서 무엇이 달라졌나요?
개항 이후 오늘날까지 21 고종이 발표한 교육조서가 무엇인가요? 22 대한제국 때는 어떤 학교들이 세워졌나요? 23 우리 손으로 대학을 세우자는 운동이 있었다고요? 24 일제 강점기에는 학교에서 우리말을 쓸 수 없었다고요? 25 해방된 후의 학교는 어떤 모습이었나요? 26 대학 입시 제도는 어떻게 바뀌었나요? 27 초등학생들도 입시 지옥에 시달렸다고요? 28 국민학교와 초등학교는 다른 학교인가요? 29 콩나물 교실은 무슨 교실인가요? 30 도시락 검사는 왜 했나요? 31 소풍을 손꼽아 기다렸다고요? 32 지금의 학교는 어떤 모습인가요?
서가브라우징
왜 고맙다고 말해야 해요?2017 / 지음: 엠마 워딩턴, 크리스토퍼 맥커리, 그림: 루이스 토마스, 옮김: 김영옥 / 이종주니어
왜 낯선 사람을 따라가면 안되나요?2014 / 지음: 이유라, 그림: 유명희 / 참돌어린이
학교생활 나라면 어떻게 할까?2021 / 지음: 박형빈 / 한언
가정생활 나라면 어떻게 할까?2022 / 지음: 박형빈 / 한언
사회생활 나라면 어떻게 할까?2022 / 지음: 박형빈 / 한언
예절바른 사람이 될래요 2016 / 지음: 홍진복, 김경아, 박동배 / 상서각
도대체 학교는 누가 만든 거야?2020 / 글: 쇼함 스미스, 그림: 아이나트 차르파티, 옮김: 천미나 / 제제의숲
학교는 언제 처음 생겼나요? : 선생님이 들려주는 학교의 역사2016 / 지음: 김한종, 그림: 정순임 / 책과함께어린이
나를 지키는 안전 수첩: 유괴·성폭력 예방 그림책2014 / 글: 서보현; 김지식이 잘잘잘: 령언 그림 / 한솔수북
우리가 교문을 바꿨어요!, 교문을 직접 디자인한 아이들2021 / 지음: 배성호; 그림: 김지하 / 초록개구리
학급 회의 더하기: 우리도 한 표, 선생님도 한 표2017 / 지음: 이영근; 그림: 조혜령 / 현북스
깜깜 마녀는 안전을 너무 몰라2015 / 지음: 김은의, 그림: 박우희 / 스콜라
재난에서 살아남는 10가지 방법: 어린이를 위한 안전 동화2018 / 글: 강로사, 류재향; 그림: 이창섭 / 종이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