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장 장르문학의 법칙
세계적 문화 현상으로서의 장르문학
삼세 번의 원칙
장르문학이라는 괴상한 용어
장르문학의 3대 오페라
영화 <동주>로 읽는 장르문학 출판의 공식
밋밋한 일상을 위한 작은 위안
장르문학과 대중
베스트셀러와 장르문학
정전과 장르문학
죽음과 예술철학과 장르문학
재창조와 표절 사이
제2장 유희적 공상과 SF의 정치적 무의식
SF 출생의 비밀은 모방과 오독
근대 여행 서사의 탄생 『80일간의 세계일주』
로봇의 어원, 체코어 ‘노동하다’
로봇공학 3원칙과 인공지능 『아이, 로봇』
『우주전쟁』과 장르문학의 정치학
SF 페미니즘, 『어둠의 왼손』
SF 권勸하는 사회
진화의 의미와 미래에 대한 성찰 『유년기의 끝』
SF, 과학과 자본의 결혼
한국SF 소사 1
한국SF 소사 2
제3장 판타지, 공상에서 문학으로
판타지, 미토스, 데이드림
톨킨과 판타지와 갈라파고스 증후군 『반지의 제왕』
할리우드 장르판타지의 공식, ‘영웅의 여정’
판타지의 세 유형
장르판타지와 한국 경제의 닮은 꼴 『드래곤라자』,『옥스타칼니스의 아이들』
게임과 판타지
제4장 무협소설 - 남성의 로망, 남근의 서사
무협소설의 탄생
무협소설의 역사
한국 무협의 역사
무협소설의 관습과 유형
이재학의 무협만화
<열혈강호>와 <용비불패> 그리고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김광주의 『정협지』
무협장르의 이모저모
제5장 외설문학과 연애소설
『채털리 부인의 연인』 재판과 외설 논란
『반노』의 외설 시비
외설의 현대성
연애소설을 다르게 읽어보기
연애소설의 명과 암
여심을 저격하는 연애소설의 하위장르들
제6장 마조히즘적 쾌락과 공포문학
즐거운 공포, 호러
공포의 사회학
제7장 『삼국지』라는 서사의 제국
『삼국지』들의 역사
『삼국지』의 진실과 거짓
『삼국지』의 명품들
『삼국지』를 뒤흔든 5대 전투
촉한정통론과 『삼국지』 정치학
관우, 신이 되다
『삼국지』, 게임이 되다
일본의 『삼국지』
<고우영 삼국지>
『삼국지』의 이모저모
제8장 추리소설의 미학과 사회학
에드거 앨런 포와 탐정소설의 탄생
명탐정 셜록 홈즈 행장行狀
추리소설의 플롯과 트릭
비독과 프랑스 경찰소설
석학이 쓴 최고의 추리소설, 『장미의 이름』
탐정소설에서 추리소설로
범죄문학의 걸작, 『대부』
간추려 본 한국 추리소설 100년
한국 추리소설의 별, 김내성
김성종과 한국 추리소설의 3김金
김탁환의 역사추리소설
사실의 공백을 메우는 정치적 상상력 『북의 시인 임화』
한국 추리소설의 전통과 <별순검>
탐정소설과 가추법
추리소설의 숨은 걸작, 「9마일은 너무 멀다」
그리고 최고의 추리소설이 되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추리소설의 사회학 또는 정치경제학
추리소설의 모더니티
제9장 미디어와 장르문학
웹소설과 장르문학
필립 K. 딕의 퓨처 리포트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
첨단기술사회와 근미래에 대한 물음 『뉴로맨서』
『장자』와 보르헤스, 그리고 <아바타>와 <인셉션>
제10장 북한의 대중문학
북한의 SF
북한식 대중문학, <꽃 파는 처녀>
제11장 일본의 대중소설, 그토록 경쾌하고 대중친화적인
하루키의 『1Q84』와 일본소설
참을 수 있는 소설의 가벼움 『기사단장 죽이기』
히가시노 게이고의 휴먼 스토리들
제12장 한국의 대중소설과 작가
한국 최초의 베스트셀러 소설, 『장한몽』
『무정』에 대하여
한국 통속소설의 전형, 『찔레꽃』
박종화와 역사소설
소설공장 공장장 방인근
백백교와 박태원의 『금은탑』
집으로 돌아간 노라, 『자유부인』
김내성의 『청춘극장』
영원한 청년문화 작가 최인호와 『별들의 고향』
『강변부인』, 욕망의 덧없음과 강렬함
만주滿洲, 대중소설이 되다
『인간시장』, 정의에 대한 통속적 물음
풍수지리와 대중소설
한국의 대중문학 100년
제13장 문학과 장르문학의 사이와 차이
『안나 카레니나』와 장르문학
『안나 카레니나』와 결혼
장르문학과 문학적 기억 『상인자의 기억법』
한강을 읽자
역사와 장르문학 유발 하라이의 『사피엔스』
장르문학은 어쩌면
제14장 장르문학을 바라보는 다섯 개의 시선
장르문학과 문화연구
문장부호와 장르문학
장르문학과 문학의 위상 혹은 위기
장르문학의 자인과 졸렌
『햄릿』과 철도와 장르문학
제15장 장르문학에 길을 묻다
생각의 기원, 베르베르의 『뇌』
장르문학과 마음
<매트릭스>, 시오니즘 그리고 『금강경』
탈근대와 불교 통속소설 사이, 『만다라』
장르문학, ‘5차 혁명’을 꿈꾸다
역대 주요 베스트셀러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