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봉건국가에서 서구 자본주의 사회로 급속히 전환하였으며 패전 후 불과 20여 년 만에 세계 제2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섰다. 역사적인 연속성 속에서 오늘날의 일본경제구조와 경제운영이 어떠한 연결고리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은 이러한 일본경제론을 이해하기 쉽도록 서술했다.
목차
머리말
1장 메이지유신과 일본의 근대화 1. 울고 싶은데 뺨을 때린 페리 2. 공업 발전의 기초를 마련하다 3. 은행제도와 주식회사 4. 자본주의 발전과 정부의 역할 5. 초기 기업가의 유형과 경영이념
2장 전쟁으로 몰락하고 전쟁 덕분에 성장하고 1. 제국주의 일본과 전쟁의 후폭풍 2. 반딧불의 묘 3. 이제야 살았다? 한국전쟁 특수 4. 일본기업의 3대 고용관행
3장 재벌구조와 메인뱅크 1. 재벌의 흥망성쇠 2. 기업집단의 형성 3. 법인자본주의와 경제민주화 4. 메인뱅크제도 5. 화려한 일족
4장 일본의 고도성장기 1. 진무경기 - 자신감 회복 2. 이와토경기 - 도쿄타워와 올림픽 3. 이자나기 경기 - 골리앗 미국을 이기다 4. 일본열도개조론 - 광란물가 5. 고도성장 요인 - 재갈 물린 자본주의
5장 버블경기와 잃어버린 10년 1. Japan as No.1 2. 변덕쟁이 일본은행의 대실수 3. 버블경제와 헤이세이불황 4. 타이밍을 놓치다 5. 일본의 국제원조와 국가 이미지
6장 호롱불 같은 일본 경제 1. 금융기관을 좀먹는 부실채권 2. 금융개혁의 전야제 3. 제로금리정책 이후의 변화 4. 일본식 고용시스템의 변화 5. 저출산·고령화 정책의 변화
7장 아직도 잃어버린 일본 경제일까? 1. 일본시장의 특징 2. 변화에 느려도 너무 느린 일본기업 3. 그렇지만 튼튼한 기초 4. 잃어버리지 않은 경제력 5. 노벨상의 원동력, 과학기술정책
8장 아베노믹스와 Society 5.0 1. 아베노믹스 2. 아베노믹스에 대한 평가 3. 모노즈쿠리 4. 일본의 4차산업혁명, Society 5.0 5. 대일무역과 한일 경제 비교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짝퉁전쟁 = War on knockoffs2010 / 홍순도 지음 / 올림
신 중국 책략 : 세계 최고를 향한 중국의 야심과 한국의 전략2018 / 지음: 황순택 / 틔움
2020년 중국 : 세계적 석학들의 중국 경제 전망2011 / 후안강 지음 ; 이은주 옮김 / 북이십일 21세기북스
2020년 중국 : 세계적 석학들의 중국 경제 전망2011 / 후안강 지음 ; 이은주 옮김 / 북이십일 21세기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