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Ⅰ 글쓰기
제Ⅰ장 글쓰기는 경쟁력, 글쓰기를 이렇게 하자
◉ 글쓰기는 선택이 아닌 필수!
◉ 무엇보다 읽는 사람을 배려하자
◉ 먼저 주제를, 주제는 글의 영혼
◉ 제재를 찾아라, 제재는 주제의 육체
◉ 개요를 만들라, 개요는 글의 뼈대
◉ 글은 단어 문장 단락의 연합체
◉ 고치면 고칠수록 좋은 글이 된다
제Ⅱ장 문장이 정확해야 글이 산다
◉ 내 문장을 다시 보자
◉ 시제(時制)의 오류
◉ 주술(主述) 불일치와 무리한 주어 생략
◉ 생략된 주어와 서술어의 불일치
◉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 오류
◉ 동격(同格)의 불일치
◉ 특정 낱말의 관용 표현 이탈
◉ 조사(助辭)의 오류
◉ 접속(接續)의 오류
◉ 지속(持續)의 오류
◉ 피동 표현의 오류
◉ 중의문(重義文)
제Ⅲ장 실용 장르 이해와 테크니컬 요령
◉ 시험답안 쓰기
◉ 자기소개서 쓰기
◉ 비즈니스 레터 쓰기
◉ PT 보드 문안 쓰기
◉ 기획서(제안서) 쓰기
◉ 문화·시사비평 쓰기
Part Ⅱ 말하기
제Ⅰ장 말하기 실전 준비
◉ 아무도 당신의 말을 주의 깊게 듣지 않는다면?
◉ ‘말하기의 구조’와 ‘말하기를 위한 능력’
◉ ‘나의 말하기’ 장·단점 10가지
◉ ‘말하기 공포증’극복은 실전과 연습이 왕도이다
◉ 듣는 사람이 누구인가?
◉ ‘말하기’의 논리적 구조 짜기는 '자유 연상'에서부터 시작하라
◉ ‘다발짓기’
◉ ‘조직하기’
제Ⅱ장 목소리와 전문담화
◉ 목소리는 말의 튀는 형식이다
◉ 상황에 따른 목소리의 다양한 변주
◉ 상황에 적절하게 말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
◉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은 키포인트만
◉ 철저한 준비만이 전문성을 높인다
◉ 담화 내용의 전문성을 높이는 방법
제Ⅲ장 실용 장르와 테크니컬 요령
찬반 토론 말하기
◉ 토론(debate)이란 무엇인가?
◉ 듣는 사람을 내 편으로 만들기
프레젠테이션
◉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프레젠테이션
◉ 상품을 팔 것인가 감동을 팔 것인가
면접
◉ 면접은 당신을 보여주고 들려주는 일이다
◉ 자기소개에는 드라마가 있어야 한다
대화
◉ 상대의 말을 경청하고 상대가 내 말을 경청하게 하라
◉ 비언어적 메시지에 주의하고, 상대의 이름을 꼭 챙겨라
▪ 부록
◉ 우리말 바로쓰기
◉ 문장 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