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한국화의 이론
1. 동양화란 무엇인가?
2. 동양화의 역사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4) 근대·현대
3. 한국화의 본질
4. 한국화의 분류
5. 한국화 육법(六法)
6. 수묵화의 종류
7. 동양 미학에서 공간의 의미
8. 문방사우의 유래
9. 동양화 기법
1) 붓 쓰는 방법(용필·用筆)
2) 먹을 개는 방법(조묵법·調墨法)
3) 먹색의 여러 가지(묵색법·墨色法)
4) 먹 쓰는 방법(용묵법·用墨法)
5) 그리는 방법(묘화방법·描畵方法)
6) 색칠하기(설색법·設色法)
10. 민화란
11. 사군자
12. 문인화
13. 산수화란
14. 한국화의 기법
15. 한국화의 원근법
제2장 한국화 그리는 도구 및 터치법
1. 붓의 종류
2. 붓 잡는법
3. 붓으로 선과 모형 표현
4. 붓의 사용 방향
5. 붓의 세기와 먹물 양에 따른 번짐 표현
6. 먹의 번짐 및 흡수
7. 먹물의 속성
8. 붓 씻고 준비
9. 먹의 농도에 따른 농도
10. 문방사우의 위치(그리기 준비 형태)
11. 붓 필의 벌어진 위치에 따른 표현
12. 바탕붓의 위치에 따른 먹물 흡착과 농도 표현
13. 한지 위에서의 먹 흡착
14. 붓의 위치에 따른 연잎 표현
15. 붓 터치와 번짐을 이용한 새 표현
16. 각종 그리기 표현
제3장 한국화 그리기 실습
1. 나뭇잎 표현
2. 나무 표현
3. 꽃 표현
4. 대나무 그리기 및 그 외
5. 매화 그리기
6. 난 그리기
7. 대나무 잎 그리기
8. 소나무 그리기
9. 과일 그리기
10. 나무 그리기
11. 산 그리기(바위)
12. 바위 그리기
13. 산의 풍경
14. 갈대 그리기
15. 과실과 동물 기초 표현
16. 여러 종류의 꽃 그리기
저자 프로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