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序論)
제2장 조선시대의 언문(諺文)과 언간(諺簡)
2.1. 조선시대 언문(諺文)의 지위
2.2. 조선시대 언간(諺簡)의 실용 범위
2.2.1. 언간 실용의 단계적 확산
2.2.2. 남성간의 언간 실용
2.3. 조선시대 언간의 명칭
2.3.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등장하는 한자 표기 명칭
2.3.2. 언간 자료에 등장하는 한글 표기 명칭
2.3.3. ‘언간(諺簡)’ 명칭의 이점
제3장 언간의 구성(構成)과 격식(格式)
3.1. 봉투(封套)
3.1.1. 봉투의 종류
3.1.2. 봉투의 구성과 격식
3.2. 내지(內紙)
3.2.1. 내지의 구성
3.2.2. 내지의 격식
3.2.3. 요약
제4장 언간 자료의 명명(命名)과 소개
4.1. 언간 자료의 명명(命名)
4.1.1. 발신자(작성자) 중심의 명명
4.1.2. 출처(出處) 중심의 명명
4.1.3. 명명 방식 적용의 문제점
4.2. 언간 자료의 소개
4.2.1. 언간 자료의 소개 현황
4.2.2. 언간 자료의 종합화
4.3. 언간 자료의 현황
4.3.1. 궁중 언간
4.3.2. 민간 언간
[참고 1] 조선시대 언간 자료 일람
[참고 2] DB 구축 및 운용 프로그램의 예시
[참고 3] 조선시대 궁중 언간 일람(발신자 별)
제5장 언간 자료의 특성과 가치
5.1. 일상성(日常性)
5.2. 자연성(自然性)
5.3. 구어성(口語性)/문어성(文語性)
5.4. 개인성(個人性)
5.5. 사실성(事實性)
5.6. 요약
제6장 결론(結論)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