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하기로 본)제주의 원풍경 아이덴티티 : 질적연구방법론의 전개 심리학적 어프로치
발행연도 - 2016 / 저자: 오선아 / 온누리디앤피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부록
부록없음
등록번호
KM0000460335
ISBN
9788994495477
형태
296 p. 22 cm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공학, 공업일반, 토목공학, 환경공학
>
위생, 도시, 환경공학
카테고리분류
인문
>
심리학/정신분석학
>
이론 심리학
책소개
원풍경(原風景), 나의 원풍경, 고향의 원풍경, 지역의 원풍경, 일본인의 원풍경, 한국인의 원풍경, 인류의 원풍경........ 이런 키워드와 마주칠 때, 어떤 이미지를 떠올리게 되는가. 이 물음에 대하여 저자는 다양한 관점으로부터 나오는, 몇 가지의 답이나 해석들을 설명하고 있다.
목차
한국어 번역판을 내면서 (일본어판) 출판에 부쳐 / 미니미 히로후미 南 博文 敎授 (일본어판) 서문 제1장 원풍경 연구의 동향과 전개 제1절 원풍경연구의 흐름 제2절 선행연구로 어디까지 이해되었는가 제3절 선행연구로부터 남겨진 문제점 제2장 원풍경 연구의 어프로치 - 서로 이야기하기 방법 제1절 원풍경연구의 도달 과제와 그 시점 제2절 본 연구에서 원풍경을 포착하는 구체적 방법 제3절 본 원풍경연구의 구성 제3장 조사대상지역인 제주도의 배경 제1절 제주도의 자연·지리적 특성 제2절 제주도의 사회·문화적 특성 제4장 이야기하기 종류와 이야기하기타입 : 개인 이야기하기 제1절 개인내의 구조와 개념검출 : 1인의 사례로부터 제2절 개인내의 원풍경 : 개념·구조의 확인과 개인차 제3절 개인이야기하기의 검토로부터 생성된 가설 제5장 공동이야기하기로부터 본 원풍경의 공동성 제1절 원풍경의 공동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검출과 구조파악 제2절 원풍경의 공동성 개념·구조의 확인과 그룹간의 차이점 제3절 공동이야기하기의 검토로부터 생성된 가설 제6장 이야기하기에 나타나는 원풍경의 공간성 제7장 자연관과 자연체험이 환경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제8장 원풍경연구의 가능성과 전망 보유 주 인용문헌
같은 주제의 책
❮
강남의 탄생 : 대한민국의 심장 도시는 어떻게 태어났는가?
2016 / 지음: 한종수, 계용준, 강희용 / 미지북스
(김진애의)도시 이야기: 12가지 도시적 콘셉트
2019 / 김진애 지음 / 다산초당:
(청소년을 위한) 환경 교과서
2012 / 지음: 클라우스 퇴퍼, 프리데리케 바우어 ; 옮김: 박종대, 이수영 / 사계절
지구를 살리는 영화관 : <인터스텔라>에서<옥자>까지, 영화로 펼쳐보는 오늘의 환경 이슈
2019 / 지음: 권혜선 ; 김찬국 ; 김희경 ; 인재정 ; 조성화 / 서해문집
지구가 뿔났다 : 생각하는 십대를 위한 환경 교과서
2013 / 남종영 지음 / 꿈결
공간혁명 : 행복한 삶을 위한 공간 심리학
2019 / 지음: 새라 W. 골드헤이건 ; 옮김: 윤제원 / 다산사이언스
지구를 살리는 기발한 물건 10 : 10대부터 알아야 할 환경 이야기
2019 / 지음: 박경화 / 한겨레출판
우리는 자연의 일부입니다: 풀꽃세상 환경 특강
2020 / 지음: 박병상 [외] / 철수와영희
도시에 미학을 입히다
2015 / 지음: 고명석 / 워치북스
똥에 대해 이야기해봅시다, 진지하게 : 화장실과 하수도의 세계로 떠나는 인문 탐사 여행
2019 / 지음: 로즈 조지 ; 옮김: 하인해 / Caracal(카라칼)
정크스페이스·미래 도시
2020 / 지음: 렘 콜하스, 프레드릭 제임슨; 옮김: 임경규 / 문학과지성사
모두를 위한 환경개념사전 : 지구를 살리는 175개의 환경 키워드
2015 / 지음: 김희경, 신지혜, 장미정, 일러스트: 김순효 / 한울림
나무 심으러 몽골에 간다고요?
2013 / 김단비; 김영수 / 이후
걸어다닐 수 있는 도시 : 부와 건강, 지속가능성에 대한 해답
2015 / 지음: 제프 스펙, 옮김: 박혜인 / 마티
긴 여름의 끝
2011 / 다이앤 듀마노스키 지음 ; 황성원 옮김 / 아카이브
❯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80대 0
90대 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 0
2017년 0
2018년 0
2019년 0
2020년 0
2021년 0
2022년 0
2023년 0
2024년 0
2025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