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을 정밀하게 사실적으로 추적하여 역대 군왕 27명의 치국평천하 리더십을 당시의 시대 상황과 연결시켜 분석했다. 27명에 달하는 조선조 역대 군왕이 주어진 상황에서 어떤 자세로 정사에 임했고, 재위 때 구사한 치국평천하 리더십의 실체가 과연 어떤 것이었는지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다.
목차
프롤로그 역사는 반복된다
제14장 선조 망국적인 붕당정치의 씨앗을 뿌리다 ‘붕당정치’가 만개한 선조의 통치시대 동서분당의 시작 종계변무의 해결 당쟁과 왜란 정유재란의 전개 도학군주와 난세 쟁점 Focus ⑧: 이순신과 원균은 왜 다퉜을까? 조선의 왕릉 ⑭: 선조 - 목릉
제15장 광해군 나라를 위기국면에서 구하려 했지만 폐위되다 반정의 희생양 서자의 등극 회퇴변척 사건 칠서지옥과 폐모 사건 반정의 빌미가 된 궁궐 축조 사업 여진족의 흥기 깊이 읽기: ‘정통과 이단’의 정통성 문제 쟁점 Focus ⑨: 광해군을 왜 명군으로 평가할까? 조선의 왕릉 ⑮: 광해군 - 광해군묘
제16장 인조 명분론에 휩싸여 국난을 초래하다 도덕과 부도덕 명나라 사신의 횡포 대외 정책의 문제점 정묘호란의 발발 병자호란의 발발 삼전도의 굴욕 소현세자의 돌연사 세자빈 강씨의 폐출 쟁점 Focus ⑩: 인조는 왜 최악의 군주일까? 조선의 왕릉 ⑯: 인조 - 파주장릉
제17장 효종 불가능한 북벌론으로 설욕을 꿈꾸다 김자점의 모반 망자존대의 북벌 조선의 왕릉 ⑰: 효종 - 영릉
제18장 현종 예송논쟁을 방관하다 사림에 휘둘리다 기해예송의 전개 갑인예송의 점화 중국의 대례지의, 복위 논쟁과 조선의 예송 조선의 왕릉 ⑱: 현종 - 숭릉
제19장 숙종 당쟁을 부추겨 왕권 유지를 꾀하다 끝없는 예송 논쟁 허적의 유악 사건 고변의 횡행 송시열과 장희빈 취선당 사건 대리청정의 파문 숙종의 치국평천하 리더십 쟁점 Focus ⑪: 숙종은 왜 환국을 행했을까? 조선의 왕릉 ⑲: 숙종 - 명릉
제20장 경종 당쟁의 표적이 되어 단명에 그치다 불안한 출발 경종의 불임과 독살설 조선의 왕릉 ⑳: 경종 - 의릉
제21장 영조 탕평책으로 붕당은 해체되었으나 외척 세력이 창궐하다 탕평의 허실 임인옥사 전말 독살설의 실체 이인좌의 난과 남인의 몰락 탕평과 쌍거호대 군신 간의 힘겨루기 사도세자의 횡사 탕평의 한계 영조 리더십에 대한 평가 깊이 읽기: 왜 ‘조’를 사용하는 묘호가 더 많을까? 조선의 왕릉 ㉑: 영조 - 원릉영조
제22장 정조 드높은 이상과 자신감으로 도학군주를 꿈꾸다 세종을 능가하는 호학군주 잇단 피살 위협 벽파와 시파의 대립 홍국영과 준론탕평 규장각과 노론의 독주 화성 건설과 신해통공 군사론의 허실 쟁점 Focus ⑫: 정조는 독살당한 것일까? 조선의 왕릉 ㉒: 정조 - 건릉
제23장 순조 가렴주구를 방관해 패망을 재촉하다 황사영 백서 사건 효명세자와 대리청정 쟁점 Focus ⑬: 세도정치의 배경은 무엇일까? 조선의 왕릉 ㉓: 순조 - 인릉
제24장 헌종 어린 나이 즉위로 혼란을 야기하다 조선 임금 중 가장 어릴 때 즉위한 왕 기해박해와 병오박해 안동 김씨의 복귀 깊이 읽기: 유방은 한고조인가 한고제인가? 조선의 왕릉 ㉔: 헌종 - 경릉
제25장 철종 왕권이 땅에 떨어진 가운데 문득 즉위하다 이하전의 옥사 군약신강과 세도정치 조선의 왕릉 ㉕: 철종 - 예릉
제26장 고종 국난의 위기에 엇갈린 행보를 거듭하다 고종의 등극과 대원군의 섭정 쇄국의 본질 대원군의 오판 임오군란의 전개 ‘여우사냥’의 표적 아관파천의 배경 대한제국의 출범 춘생문 사건과 독립협회 광무개혁의 허실 쟁점 Focus ⑭: 고종은 과연 암군일까? 조선의 왕릉 ㉖: 고종 - 홍릉
제27장 순종 허수아비가 돼 패망을 목도하다 허수아비 황제 박승환의 자결과 안중근의 저격 깊이 읽기: 춘추좌전과 서경집전 쟁점 Focus ⑮: 민씨 척족은 왜 비난받을까? 조선의 왕릉 ㉗: 순종 - 유릉
에필로그를 대신하여 제왕학과 독사
부록 조선왕조 계보 능묘 및 소재지 생몰연대 및 재위 기간 조선왕조 연표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운종가 입전 : 조선의 갓을 팔다 = Gentlemen's hat shop in the Joseon dynasty 2020 / [편]: 서울역사박물관 도시유적전시과 / 서울역사박물관 도시유적전시과
한양의 탄생 : 의정부에서 도화서까지 관청으로 읽는 오백년 조선사2015 / 서울학연구소 엮음 / 글항아리